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군 "북한 발사체 내일쯤 수면 떠오를듯"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RSS


군, 北 우주발사체 '천리마 1형' 인양작업
"유속 강해…내일 수중작업 재개"

군이 3일 서해 먼바다에 추락한 북한의 우주발사체 '천리마 1형'의 잔해 인양 작전의 진행 상황을 전했다.


합동참모본부는 이날 오후 5시 30분 언론에 "오늘 수중작업은 더 진행하지 않는다"며 "현장의 유속이 2노트(시속 3.7㎞)여서 어려움이 있었다"고 했다. 합참은 "4일 상황에 따라 수중작업을 재개할 예정"이라며 "정상적으로 진행되면 내일쯤 수면으로 발사체 동체가 올라올 수도 있다"고 밝혔다.

합동참모본부가 일부 인양한 '북한 주장 우주 발사체'로 추정되는 물체.[사진 = 합동참모본부, 연합뉴스]

합동참모본부가 일부 인양한 '북한 주장 우주 발사체'로 추정되는 물체.[사진 = 합동참모본부, 연합뉴스]

AD
원본보기 아이콘

현재 해역에는 3500t급 수상함구조함 통영함(ATS-Ⅱ)과 광양함(ATS-Ⅱ)이 투입돼 있다. 3200t급 잠수함구조함(ASR)인 청해진함도 전날 오후 합류했다. 청해진함은 물속에서 기체 중독을 막는 포화 잠수 장비 가감압 체임버를 보유하고 있다.


군은 이날 오전 해난구조전대(SSU) 심해 잠수사를 전북 군산 어청도에서 서쪽으로 약 200㎞ 떨어진 바다의 해저로 투입했다. 인양은 잠수사들이 포화 잠수를 통해 수심 75m 깊이 바닥에 가라앉은 15m 길이의 잔해를 밧줄에 묶은 뒤 끌어올리는 순서로 진행할 계획이다.


앞서 북한이 공개한 사진을 분석한 결과 천리마 1형의 전체 길이는 29~30m가량으로 추정된다. 2단과 3단 추진체가 붙어 있는 형태일 가능성이 있고 이 경우 발사체 상단에 군사 정찰위성 '만리경 1호'가 발견될 수도 있다.

북한은 지난달 31일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 서해 위성 발사장에서 '만리경 1호'를 탑재한 로켓 '천리마 1형'을 발사했다. 위성은 궤도에 오르는 데 실패했다. '천리마 1형'의 1단 추진체는 정상적으로 분리됐지만, 2단 추진체 고장으로 비정상 비행 궤적을 그리면서 전북 군산 어청도 서쪽 200여㎞ 거리 해상에 떨어졌다.





이소진 기자 letmein@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슈 PICK

  • SM 떠난 이수만 근황…미국서 나무 심고 기부한다 故정주영 회장 63세 며느리, 태극마크 달고 아시안게임 출전한다 농심, '먹태깡' 돌풍 여전…"600만봉 넘었다"

    #국내이슈

  • 소행성 흙·돌 담은 美 탐사선 캡슐, 7년만에 지구 귀환 '폭군' 네로 황제가 세운 궁전… 50년 만에 재개장 [르포]"새벽 1시에 왔어요" 中, 아이폰 사랑은 변함없었다

    #해외이슈

  • [포토] 본회의 무산…'올스톱' 된 국회 [포토] 무거운 표정의 민주당 최고위원들 조국·조민 책, 나란히 베스트셀러 올라

    #포토PICK

  • 현대차 "안드로이드 오토·애플 카플레이, 무선으로 즐기세요" 기아, 2000만원대 레이 전기차 출시 200만원 낮추고 100만㎞ 보증…KG 새 전기차 파격마케팅

    #CAR라이프

  • [뉴스속 용어]소행성 흙 보낸 美 첫 우주선 ‘오시리스-렉스’ [뉴스속 인물]폭스 회장직 물려받은 머독의 장남, 라클런 머독 [뉴스속 용어]헌정사 처음 가결 '국무총리 해임건의안'

    #뉴스속OO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top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