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는 2017년 예산안을 올해 예산보다 1229억원(1.5%) 늘어난 8조3132억원으로 편성, 시의회에 제출할 계획이라고 7일 밝혔다.
내년도 예산안은 '시민이 행복한 인천', '인천중심의 교통체계 완성' 등 7개 분야를 추진하는데 역점을 뒀다. 또 군·구 조정교부금 5825억원, 교육청 법정전출금 5916억원, 징수교부금 853억원 등 법정경비 1조2594억원을 전액 반영했다.
특히 7171억원의 부채를 상환해 한때 39.9%에 달했던 채무비율을 내년 말까지 25.9%로 낮출 계획이다. 시는 이를 기반으로 2018년 말 '재정 정상' 지자체에 진입해 부채도시의 오명을 벗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시 본청 채무도 10년 이상 증가하다가 지난해부터 감소 추세로 돌아섰다. 2005년 1조1200억원에서 매년 증가해 2014년 말 3조2581억원으로 최고에 달했다가 지난해 3조2206억원으로 줄었다.
인천시는 채무비율이 39.9%로 전국 지자체 가운데 가장 높아 지난해 8월 행정자치부로부터 재정위기단체 '주의'등급을 받았다.
이에 시는 2018년까지 시의 총 부채를 13조원에서 8조원대로 줄이고 예산 대비 채무비율을 25% 미만으로 줄이겠다는 내용의 '재정건전화 3개년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시는 올해 말까지 채무비율이 31.7% 감소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분야별 내년도 예산안을 보면 복지 안전벨트 구축에 7050억원, 인천형 장애인복지 확대에 1563억원, '100세 시대' 활기차고 건강한 노후지원에 5997억원, 워킹맘이 안전한 보육환경 조성에 5647억원이 편성됐다.
또 인천의 8대 전략사업 육성·시민 주거안정 등 '인천경제 재도약' 분야에 1680억원, 역사문화 스토리텔링 자원발굴· 지역문화 육성 등 '한국문화의 새중심 인천' 분야에 1548억원을 투입한다.
이밖에 인천시내 남-북 도로망 확충과 인구 300만 대도시급 교통인프라 조성 등 '인천 중심의 교통체계 완성'에 5771억원, 애인(愛仁) 섬 만들기 프로젝트 등 '개항도시 인천'에 1089억원을 각각 투자할 예정이다.
시 관계자는 "내년도 예산안은 300만 인천주권 시대를 실현하기 위한 예산에 집중했으며 시민의 안전과 교육환경 개선, 인천의 미래 성장동력에 대한 투자, 시민편의와 직결된 SOC사업 등을 선별해 편성했다"고 밝혔다.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