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r_progress
Dim영역

연예인들 언행 단속 나선 中 정부, 제2정풍 부나

최종수정 2015.12.15 09:54 기사입력 2015.12.15 09:54

미디어·엔터 50곳, 자율공약 서명…당국 도덕·공공질서 훼손행위 강력 제재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사진=블룸버그뉴스).

AD
썝蹂몃낫湲 븘씠肄


[아시아경제 이진수 기자] 중국 당국이 공산당 정책을 함부로 폄훼했다는 이유로 관영 매체 당서기와 한 대학 교수의 보직까지 박탈해 표현의 자유 탄압에 대한 우려가 불거져 나오는 가운데 현지 엔터테인먼트 업계도 바짝 긴장하고 있다. 당국이 은막에서든 사생활에서든 배우들에게 도덕적 행동을 요구하고 나선 것이다.
지난달 광둥(廣東)성 당국은 링난(嶺南)사범학원의 량신성(梁新生) 영문학과 부학과장이 웨이보(微博ㆍ중국판 트위터)에서 급진적 의견 개진으로 사회에 나쁜 영향을 끼쳐 직위 해제했다고 밝혔다.

당은 최근 '기율 처분 조례'를 개정했다. '당 중앙의 중요 정무에 대한 방침을 함부로 논하고 당의 집중과 통일을 파괴하는 행위'가 기율 위반으로 추가된 것이다.

그러나 당국은 언론 매체와 공개석상을 통한 발언에 대해서만 기율 위반 혐의가 적용된다고 안심시켰다. 인터넷ㆍ방송ㆍ라디오ㆍ신문ㆍ잡지ㆍ서적ㆍ강좌ㆍ포럼ㆍ세미나 등에서 당 방침을 함부로 논하는 행위에 대해서만 처벌하겠다는 것이다.
당 중앙기율검사위원회는 곧 이어 자오신웨이(趙新尉) 전 신장(新疆)일보 당서기가 당 중앙의 방침을 함부로 논해 당적과 공직이 박탈됐다고 밝혔다.

당 고급 간부를 양성하는 기관인 중앙당교의 셰춘타오(謝春濤) 교수는 최근 영국 경제 주간지 이코노미스트와 가진 회견에서 "몇몇 인사가 스스로 당보다 똑똑하다고 생각한다"며 "이는 용납할 수 없는 일"이라고 잘라 말했다.

엔터테인먼트 업계도 기율 강화에서 예외일 수 없다. 당국은 엄격한 기준 아래 낯 뜨거운 언사ㆍ장면 연출을 금하고 있다. 그러나 중국의 몇몇 배우는 사생활에서 마약ㆍ매매춘에 빠지곤 했다.

중국의 공식 미디어ㆍ엔터테인먼트 업체 50개는 당국이 최근 제시한 '신문ㆍ출판ㆍ방송ㆍ영화 업계 종사자들의 자율공약(新聞出版廣播影視從業人員職業道德自律公約)'에 서명했다. 이들 업체는 소속 연예인ㆍ직원에게도 이를 강제해야 한다. 생산하는 모든 작품에 낯 뜨거운 언사나 이미지가 들어가선 안 된다.

당국이 자율공약에서 노리는 것은 당 지도부, 국익, 사회주의 핵심 가치에 대한 지지다. 당이나 국가에 대한 모독을 용납하지 않겠다는 것이다.

도덕이나 공공질서 훼손 행위 역시 용납되지 않는다. 포르노ㆍ마약ㆍ도박도 마찬가지다. 사실 자율공약 이전에도 당국의 제재는 강력했다.

엄청난 제작비가 들어간 영화 한 편이 지난해 편집 막바지 단계에서 당국의 제재를 받았다. 주인공으로 출연한 남자 배우가 베이징(北京)에서 마리화나를 피우다 체포됐기 때문이다. 남자 주인공이 교체되고 영화는 재촬영에 들어갔다.

자율공약 서명 업체가 이를 어길 경우 3년간 블랙리스트에 오르게 된다. 자율공약이 공개된 지 몇 주 후인 지난 10월 중앙선전사상공작영도소조 조장이기도 한 류윈산(劉雲山) 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은 내로라하는 예술문학계 인사들이 모인 자리에서 각 부문의 '번영발전'을 강조했다. 그는 이 자리에서 '중국몽(中國夢)'과 '긍정적 에너지(正能量)' 구현을 강조하기도 했다.

이들 용어는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사진)의 발언에 자주 등장하는 것으로 이 가운데 중국몽이란 중국의 위대한 부흥 실현을 의미한다. 긍정적 에너지는 시 주석이 지난해 10월 '예술ㆍ문화의 고유 역할'에 대해 연설하면서 나온 용어다.

시 주석의 연설은 1942년 5월 마오쩌둥(毛澤東)의 '옌안(延安) 문예좌담회(文藝座談會) 강연'을 떠올리게 만들었다. 좌담회에서 당은 사상을 바로잡고 문예의 계급성을 거론했으며 무산계급문예관을 수립했다. 이후 마오의 연설은 당풍ㆍ학풍ㆍ문풍을 바로잡는 정풍운동(整風運動)으로 확대됐다.

이진수 기자 commun@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이슈 PICK

  • "산책하러 나왔냐" 교통 통제 중 '뒷짐 여경' 논란 [포토]전우원 씨, 5.18 유족에 사과 마트 주차장 출구에 끼인 차…40여대 37분간 갇혀

    #국내이슈

  • "머스크, GM 회장과 열애 중"…깜짝소식의 진실 3m 솟구쳐 대파 됐는데 걸어나온 운전자…한국차 안전 화제 삼성 2023년형 OLED TV, 美·英 외신서 호평

    #해외이슈

  • [포토]꽃망울 터트린 벚꽃 전두환 손자, 공항서 체포..“나와 가족들 죄인, 5.18유가족에 사과할 것”(종합) [양낙규의 Defence Club]전군 전력 총집결…'전설의 섬' 백령도

    #포토PICK

  • 'XM3 HEV 대세' 르노코리아 하이브리드는 뭐가 다를까 "하이브리드인데도 653마력"…BMW, 2억2190만원 XM 출시 쉐보레 트랙스 크로스오버, 사전계약 1만대 돌파

    #CAR라이프

  • "이제 뒤에서도 찍습니다" 과속카메라 지나도 찍히는 '후면 무인 교통단속'[뉴스속 용어] [뉴스속 용어]서울시장 공관 비방글 삭제 거절 'KISO' [뉴스속 인물]美 의회서 '틱톡의 자유' 외친 저우서우즈 CEO

    #뉴스속OO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한눈에 보는 뉴스&트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