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온라인이슈팀] 4월1일 '만우절'을 맞아 만우절의 유래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4월1일 '만우절'에는 사람들이 서로 가벼운 장난이나 거짓말을 나누며 남을 속이기도 하고 헛걸음을 시키기도 한다. 이는 서양에서 유래한 풍습으로 영어로는 '4월 바보의 날(April Fools’ Day)'라고 한다. 이날 속아 넘어간 사람을 영어로는 '4월 바보(April fool)', 프랑스어로는 '4월의 물고기(Poisson d'avril 푸아송 다브릴)'라고 부른다.
만우절에 속은 사람을 가리키는 '4월의 물고기'라는 말은 고등어에서 나왔다. 고등어는 4월에 미끼에 속아 많이 잡힌데서 착안을 했다는 말이 있는가 하면 4월이 되면 태양이 물고기자리를 떠나므로 그것이 기원이 됐다는 설도 있다. 한편 고등어를 뜻하는 마크로(maquereau)에는 '유괴하는 사람'이라는 뜻도 있는데, 4월은 사람을 속이는 유괴자가 많은 달이라 해 그런 이름이 생겼다는 이야기도 있다.
동양 기원설도 있다. 인도에서는 불교의 설법이 춘분에 시작돼 3월31일에 끝난다. 그러나 신자들은 그 기간이 지나면 수행의 보람없이 원 상태로 되돌아갔다. 때문에 3월31일을 야유절(揶揄節)이라 부르며 남에게 헛심부름을 시키는 등의 장난을 친 데서 시작됐다는 것.
만우절의 유래를 접한 네티즌은 "만우절의 유래, 속은 사람을 고등어라고 한다니" "만우절의 유래, 이렇게 많은 유래가 있구나" "만우절의 유래, 푸아송 다브릴리아니 불어 이름이 예쁘다" 등의 반응을 보였다.
온라인이슈팀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