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수원시에 따르면 시는 지난 2010년 지방선거 당시 염태영 후보(현 시장)와 단일정부 구성에 합의한 뒤 선거막판에 사임한 민주노동당(현 통진당) 수원시장 후보 김현철 씨가 센터장으로 있던 수원시종합자원봉사센터에 올해 13억400만원을 지원했다.
시는 최근 내란음모 혐의로 구속된 이상호 씨가 센터장으로 있던 수원시사회적경제지원센터에도 올해 2억2500만원의 예산을 지원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는 지난해에도 총 사업비 2억3900만원중 2억400만원을 이 기관에 지원했다.
이 센터는 사회적기업 육성법과 경기도 사회적기업 육성지원에 관한 조례 제8조(출연기관 등의 업무위탁), 수원시 사회적기업 육성지원 조례 제23조(사회적경제지원센터 설치) 등에 따라 설치됐다.
시는 이외에도 수원새날의료소비자생활조합에 올해 1600만원을, 수원지역자활센터에 1억7800만원을 각각 지원했다. 새날의료조합은 최근 구속된 한동근 씨가 이사장으로 있던 곳이다. 또 자활센터는 최근 본연의 목적 외 정치활동 등으로 민원이 발생돼 지난 4월9일 수원시가 보건복지부에 지역자활센터 지정 취소를 요청한 상태다. 이들 두 단체는 지난해에도 각각 600만원과 1억5100만원의 예산을 수원시로부터 지원받았다.
한편, 수원시는 8일 '이석기 의원 사태 관련 수원시 입장' 제목의 성명을 통해 "시 산하기관 가운데 하나인 사회적경제지원센터 전 센터장의 내란음모 혐의 구속 등으로 시민들께 실망을 드려 다시 한 번 송구스럽게 생각한다"고 거듭 유감을 표시했다.
시는 이날 성명에서 당시 민주노동당과의 지방정부 공동구성 여부, 산하 기관의 설립과 기관장 채용 과정, 예산지원내역 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했다.
시는 지방정부 공동구성에 대해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민주당과 당시 민주노동당의 중앙당 차원 정책연대에 따라 후보 단일화는 받아들일 수밖에 없는 대세였다"며 "그러나 선거 이후 후보자간의 지방정부 공동구성은 이뤄지지 않았다"고 밝혔다.
또 사회적경제지원센터, 친환경무상급식지원센터 등 해당기관장의 채용은 "무상급식, 저소득층 자활지원 등 보편적 복지문제 해소를 위해 전문성과 활동경력을 기준으로 적법 절차에 따라 공개 공모한 결과"라고 해명했다.
이영규 기자 fortun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