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젠슨 황 입에서 사라진 '삼성전자'…"답은 TSMC"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아시아 최대 규모의 IT 전시회 '컴퓨텍스 2025' 현장,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의 입에서 '삼성전자'는 한 차례도 언급되지 않았다.

글로벌 미디어를 상대로 한 간담회에서도 삼성의 패키징 기술 사용할 가능성을 묻는 말이 나왔지만, 황 CEO는 대만의 파운드리 기업 TSMC의 기술을 언급하며 "다른 선택지는 없다"고 일축했다.

황 CEO는 21일 오전 대만 타이베이 만다린 오리엔탈 호텔에서 열린 GTC 타이베이 글로벌 기자간담회에서 '인공지능 발전에 있어서 고급 패키징 기술이 얼마나 중요하다고 보느냐'는 질문에 "우리의 칩이 이 크기를 보라"며 "한계치를 넘어선 수준을 구현한 방식은 바로 고급 칩 온 웨이퍼 온 서브스트레이트 기술"이라고 밝혔다.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글로벌 간담회, 삼성전자 한 번도 언급 안해
삼성 언급한 질문 나왔지만 대답은 "TSMC"
젠슨 황 "패키징 기술력, 선택지는 TSMC뿐"

젠슨 황 입에서 사라진 '삼성전자'…"답은 TSMC"
AD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 최대 규모의 IT 전시회 '컴퓨텍스 2025' 현장,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의 입에서 '삼성전자'는 한 차례도 언급되지 않았다. 글로벌 미디어를 상대로 한 간담회에서도 삼성의 패키징 기술 사용할 가능성을 묻는 말이 나왔지만, 황 CEO는 대만의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기업 TSMC의 기술을 언급하며 "다른 선택지는 없다"고 일축했다.


황 CEO는 21일 오전 대만 타이베이 만다린 오리엔탈 호텔에서 열린 GTC 타이베이 글로벌 기자간담회에서 '인공지능(AI) 발전에 있어서 고급 패키징 기술이 얼마나 중요하다고 보느냐'는 질문에 "우리의 칩이 (얼마나 작은지) 이 크기를 보라"며 "한계치를 넘어선 수준을 구현한 방식은 바로 고급 칩 온 웨이퍼 온 서브스트레이트(CoWoS) 기술"이라고 밝혔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21일 오전 대만 타이베이 만다린 오리엔탈 호텔에서 열린 GTC 타이베이 글로벌 기자간담회에서 질문에 대한 답을 하고 있다. 장희준 기자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21일 오전 대만 타이베이 만다린 오리엔탈 호텔에서 열린 GTC 타이베이 글로벌 기자간담회에서 질문에 대한 답을 하고 있다. 장희준 기자

원본보기 아이콘

'CoWos'는 웨이퍼 위에 여러 칩을 미세한 간격으로 배치한 뒤 이를 기판에 다시 붙이는 고급 패키징 방식으로, TSMC의 독점 기술이다. 칩 간 신호 전달 거리가 매우 짧아져 데이터 전송 속도가 획기적으로 빨라지고 그래픽처리장치(GPU)와 고대역폭메모리(HBM)를 가까이 붙일 수 있어 AI·고성능컴퓨팅(HPC) 성능 극대화에 필수적인 기술로 평가된다.


황 CEO는 'CoWoS 말고 삼성전자의 고급 패키징 기술은 어떤가'라고 재차 묻자 "CoWoS는 현시점에서 굉장히 앞선 기술"이라며 "지금 엔비디아가 CoWoS 외에 사용할 수 있는 다른 선택지는 사실상 없다"고 선을 그었다. 이어 "AI에서 고급 패키징 기술이 중요한 이유는 '무어의 법칙'이 사실상 한계에 도달했기 때문"이라며 "하나의 다이에 효율적으로 넣을 수 있는 트랜지스터 수가 정체 상태에 왔고 그래서 찾은 해법이 바로 이 칩렛"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최신 칩은 기능을 최대한 높이기 위해 여러 개의 칩을 결합하는 형태로 제작된다. GPU와 여러 HBM을 한 개의 기판에 올려놓은 엔비디아의 '블랙웰'이 그런 예다.

이 때문에 향후 반도체 시장에선 고급 패키징 기술에 대한 수요가 더 크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TSMC는 패키징 경쟁력으로 엔비디아·인텔·AMD 등 굵직한 기업들의 칩을 독식하고 있지만, 삼성 파운드리는 유의미한 패키징 수주를 따내지 못하고 있다.





타이베이(대만)=장희준 기자 junh@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