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국회 "계엄사태 사무처 10여 명 부상…최소 6600만원 피해"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지난 3일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로 국회에 난입한 계엄군으로 인해 사무처 직원 10여명이 다치고, 6600만원 상당의 물적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민기 국회사무총장은 9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통해 "이는 현재까지 추정치일 뿐 정확한 조사가 이뤄지면 그 피해 규모와 액수는 더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국회사무처가 파악한 인적 피해 사례는 늑골·손가락 염좌, 찰과상, 발가락 열상 등 사무처 직원 10여 명이 부상을 당했다. 계엄군이 유리창을 깨고 들어온 본관 2층의 창문과 유리 파손 등 현재까지 추정된 물적 피해는 총 6600만원 규모다.


국회사무처는 각 수사기관에 관련 피해 사실을 제출키로 했다고 밝혔다. 앞서 국회사무처는 지난 7일 경찰 국가수사본부 비상계엄 특별수사단, 8일 검찰 비상계엄 특별 수사본부, 9일 고위공직자 범죄수사처로부터 비상계엄 사건 관련 CCTV 영상 및 국회 피해 상황 등을 제공해달라는 협조 요청을 받았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AD
원본보기 아이콘

김 총장은 "비상계엄 당시 경찰은 국회를 불법 봉쇄해 국회의원과 직원 등의 청사 출입을 방해했다"며 "계엄군은 헬기 등을 통해 불법 침입해 본회의 개의를 저지하는 등 국회 기능을 마비시키려 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는 계엄의 헌법·법률적 한계를 넘은 것이다. 이번 비상계엄 사건 수사와 관련해 헌법과 법률에 따라 책임자를 엄중 처벌해야 한다는 입장"이라고 설명했다.

김 총장은 "경찰과 검찰, 공수처가 경쟁적으로 수사 관련 자료를 국회사무처에 요구하고 있다"며 "각 기관에 모두 협조하겠다만 수사기관 간 중복적 자료요청 등 수사권 다툼으로 비치는 모습이 있다"며 우려를 표명하기도 했다.

4일 아침 국회 본청 민원실 앞에 책상과 집기 등 밤새 바리케이트로 쓰였던 물건들이 쌓여 있다. 허영한 기자

4일 아침 국회 본청 민원실 앞에 책상과 집기 등 밤새 바리케이트로 쓰였던 물건들이 쌓여 있다. 허영한 기자

원본보기 아이콘




이동우 기자 dwlee@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