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초동시각] SAF, 진짜 지속가능하려면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에어프라이어 금지법이나, 30계 치킨 진흥법이라도 나와야 하는 거 아닌지 모르겠어요."


얼마 전 만난 정유업계 관계자가 지속가능항공유(SAF) 시장에 대해 설명하다 건넨 농담이다. 오는 2027년부터 국내에서 출발하는 모든 국제선 항공편이 SAF를 혼합해 써야 하는 'SAF 혼합의무화제도' 시행을 앞두고, 그 원료가 되는 폐식용유를 조달하기 어렵다는 업계의 상황이 함축된 우스갯소리였다.

[초동시각] SAF, 진짜 지속가능하려면
AD
원본보기 아이콘

가정집 폐식용유라도 수거해야 될 판인데, 에어프라이어 사용이 보편화되면서 식용유 사용마저 점점 줄고 있다는 것. '30계 치킨'도 같은 맥락이다. 기름을 한 솥 끓여 30마리까지만 튀기도록 의무화하지 않는 한 폐식용유가 갑자기 늘어나기 어렵지 않겠냐는 설명이었다. (덧붙이자면, 18리터 새 기름 한 통에 60마리만 튀긴다는 운영원칙을 내세우고 있는 '60계치킨'이라는 상호의 프랜차이즈 업체가 있다) 시간은 속절없이 가고, 이렇다 할 답을 찾기 어려운 업계의 답답한 심경이 담겨있다.


우리나라에서 구할 수 있는 폐식용유는 얼마나 될까. 더불어민주당 허종식 의원이 환경부로부터 받은 ‘폐식용유 발생 및 처리현황’에 따르면 2018~2022년까지 5년 동안 국내에서 발생한 폐식용유는 53만6121톤으로 연평균 10만7000톤 수준에 그친다. 비누·유지제품 제조, 연료·에너지 회수, 비료·사료 등으로의 재활용 현황을 토대로 발생량을 다시 추산하면 5년 동안 188만4370톤, 연평균 37만6874톤이 발생한다고 한다. 에어프라이어 금지법이나 30계 치킨 진흥법이라는 엉뚱한 발상이 현실화하더라도 업계에 별 도움은 되지 않는다. 티끌 모아 조금 더 큰 티끌이 될 뿐, 지속 가능하지도 않다.


가장 현실적이며 유용한 방법은 업계가 SAF 전용 시설을 구축하는 것이다. 업계에 따르면, 폐식용유 100리터를 가지고 현재 국내 정유기업들이 기존 시설을 활용해 뽑아낼 수 있는 SAF는 10리터에도 못미친다. 같은 원재료로 더 많은 양의 결과물을 얻을 수 있도록 수율을 높이는 기술을 집약시켜 전용시설을 구축하는 것이 업계가 가진 유일한 구상. 현재 10% 미만인 수율은 전용시설을 통해 최고 60~80%까지 끌어올릴 수 있다는 것이 업계 관계자의 설명이다.

그렇다면 업계는 왜 가장 주목받는 시장인 SAF를 위한 전용 시설을 서두르지 않나. 장치산업의 특성상 조(兆)단위의 막대한 투자 비용에 대한 부담 탓이다. 최근 정유업계의 주머니 사정도 여의찮다. 국내 정유 4사로 꼽히는 SK이노베이션, 에쓰오일, HD현대오일뱅크, GS칼텍스의 실적 발표를 종합하면 이들 4개사의 지난 3분기 영업손실만 1조4592억원에 달한다. 국제 유가 하락에 따른 재고 손실과 환율 하락, 중국의 경기 침체에 따른 수요 감소 등이 맞물린 결과다.


업계가 기다리고 있는 것은 정부 주도의 투자 세액공제를 비롯한 각종 인센티브다. 유럽이나 미국, 일본 등은 생산설비 구축에 대한 보조금을 지원하고 있다. 업계는 대한석유협회를 통해 기획재정부에 SAF 생산을 국가전략기술로 신규 지정해달라고 건의한 바 있다. 거스를 수 없는 필연이 된 SAF를 진짜 지속가능하게 할 민관 협력과 정부의 지원이 필요한 시점이다.





김현정 기자 alphag@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