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권이 올해 상반기 약 4700여명 규모의 대규모 채용을 예고하면서 취업난 속 큰 장이 열릴 전망이다. 정부·여당의 압박 속에 금융권도 정부 정책 발맞추기에 나섰다.
25일 금융권에 따르면 은행권은 상반기에만 2288명 이상을 신규 채용할 예정이다. 이는 전년 상반기 대비 약 742명(48%)이 증가한 수치다.
은행연합회 측은 "은행권 신규채용 인원 증가는 최근 명예퇴직 실시 등 인력 효율화에 따른 신규채용 여력 확대에 기인했다"고 설명했다.
은행들은 올해 연간으로는 전년 대비 600명이 증가한 약 3700명 규모로 채용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아울러 국내은행들은 우수인력 조기 확보, 고졸 인력 실업문제 해소 등 공공적인 역할 이행을 위해 고졸 채용도 지속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은행 외에도 금융투자업계(1035명), 손해보험업계(513명), 생명보험업계(453명), 여신전문금융업계(279명), 저축은행업계(151명) 등도 채용 계획을 예고했다.
금융권이 이처럼 대규모 채용에 나선 것은 최근 금융권을 둘러싼 비판 여론도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고금리 상황 속 이자 이익으로 호실적을 기록한 은행들은 최근 직원들에게 기본급 300~400%에 달하는 성과급과 1인당 최소 6억~7억원에 달하는 희망 퇴직금을 지급하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비판에 휩싸였다.
이후 금융당국을 비롯해 윤석열 대통령, 국회까지 은행의 '공공적' 역할을 강조하고 있는 상황이다. 은행들의 독과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금융당국의 움직임도 본격화됐다.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은행, 학계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은행권 경영·영업 관행·제도개선 태스크포스(TF)'는 지난 22일 1차 회의를 열고 은행권 진입 정책 점검, 금리체계 개선, 보수체계 개선 등 6대 과제를 중점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부애리 기자 aeri345@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