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조류인플루엔자 대란때보다 더 올라
정부 "오를만한 원인 없어"…담합 여부 점검 예정
국내 달걀 가격이 5개월 만에 17% 넘게 뛰며 '에그플레이션(egg-flation)' 상황이 계속되고 있다. 정부는 가격 급등의 배경에 담합 등 불공정거래 행위가 있었는지 여부를 집중 점검 중이다.
30일 축산물품질평가원에 따르면 지난 29일 기준 특란 10개들이 전국 평균 소매가격은 3834원으로 지난해 말(3266원)에 비해 17.4% 올랐다. 평년 가격 3534원에 비해서도 약 8.5% 비싼 수준이다.
지역별로는 충북은 특란 10개들이 가격이 4680원에 달했다. 인천(4340원), 전남(4293원), 경남(4212원), 대전(4165원) 등도 4000원을 넘어갔다. 5월 평균 가격은 3788원으로 2022년 6월(3817원) 이후 가장 높다.
달걀은 국민 1인당 연간 소비량이 약 280개(2022년 기준)에 달하는 대표적인 서민 단백질 공급원이다. 아침 식사는 물론, 도시락 반찬, 제과제빵, 외식 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 필수적으로 쓰이기 때문에 가격 급등은 가계와 자영업자 모두에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 관계자는 "지난 3월 대한산란계협회가 달걀 10개당 산지 가격을 한 달 새 34원 인상했는데 이는 역대 최고 수준"이라며 "2021년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로 전체 산란계 4분의 1인 1670만마리가 살처분됐던 때보다 지금 가격 급등이 더 심각하다"고 설명했다.
이에 정부는 지난 16일 열린 '물가관계차관회의'에서 "달걀 산지 가격이 오를 만한 뚜렷한 요인이 없다"며 현장 점검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지난 겨울 AI(조류인플루엔자)로 산란계를 살처분한 영향이라거나 미국에 수출을 많이 했기 때문이라는 주장이 있지만 사실과 다르다는 입장이다.
실제 축산물품질평가원에 따르면 올해 등급 판정을 받은 달걀은 1월 1억1231만개에서 4월 1억3058만개로 오히려 증가했다. 미국 수출 물량도 국내 달걀 생산량의 1%에도 미치지 않는다. 이번 동절기에 살처분된 닭도 490만마리에 불과하다. 정부는 달걀 수급에 문제가 없는데도 가격이 급등한 현상에 대해 담합이 있을 가능성을 의심하고 있다.
정부는 현재 1차 현장 조사를 마쳤으며 출하 물량과 유통마진 구조 등을 중심으로 전면적인 점검을 진행할 예정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공정거래위원회에 담합 등 불공정거래 여부 조사를 위한 자료를 제출해 점검에 협조할 계획이다.
서지영 인턴기자 zo2zo2zo2@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에어컨 펑펑 틀어도 전기요금 '0원'…10년간 '무료'인 '이 회사' 비결은[테크토크]](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5071713151949732_1752725720.jp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