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챗GPT, 학생이 쓰면 '부정행위'라더니…"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NYT, 강의자료로 활용한 교수 논란 보도

미국 대학에서 강의를 맡은 교수가 학생들이 과제를 할 때는 생성형 인공지능(AI)인 챗GPT 등을 사용하면 부정행위라고 규정했으나 자신은 챗GPT로 강의 노트를 작성한 사실이 드러나 논란이 되고 있다.


"챗GPT, 학생이 쓰면 '부정행위'라더니…"
AD
원본보기 아이콘

지난 14일 미국 일간 뉴욕타임스(NYT)는 지난 2월 부전공으로 경영학을 공부하던 엘란 스테이플턴 노스웨스턴대 4학년생은 담당 교수가 학교 시스템에 올려놓은 조직 행동론 수업 강의 노트로 복습하다가 이상한 내용을 발견했다고 전했다. 그는 강의 노트 중간쯤에서 "모든 분야에서 확장해", "보다 세부적이고 구체적으로 써"라는 등 챗GPT에게 내린 지시로 추정되는 부분이 포함돼 있었다.

스테이플턴은 이 과목을 맡은 릭 애로우드 겸임교수가 만든 슬라이드 등 다른 강의자료도 재검토했다. 그 결과, 텍스트와 사람들 사진에 나타난 왜곡과 오탈자 등이 생성형 AI를 사용해 만들었을 경우 전형적으로 자주 나타나는 오류들을 발견했다.


스테이플턴은 충격을 받았다. 이 과목의 강의계획서에는 과제물 작성이나 시험 답안 작성에 무단으로 AI나 챗봇을 이용하는 것을 '부정행위'라고 명시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는 "교수가 우리에게는 AI를 못 쓰게 하면서 정작 본인은 쓰고 있다"며 분개했다. 스테이플턴은 자신이 낸 학기 등록금 가운데 해당 과목 몫인 8000달러(약 1130만원)를 환불하라며 경영학부를 상대로 공식 민원을 제기했다. 그는 경영학부 관계자들과 여러 차례 면담했으나, 등록금 환불은 불가하다는 답변을 들었다.


릭 애로우드 겸임교수는 NYT에 이번 사건에 대해 후회가 막심하다고 전했다. 20년 가까이 강사 생활을 해왔다는 그는 기존의 교안, 강의 노트, 강의자료 등을 챗GPT와 AI 검색엔진 '퍼플렉시티', 프레젠테이션을 만들어주는 AI 서비스 '감마' 등에 올려서 새 자료들을 만들었다고 말했다. 그는 "돌이켜 생각하니 좀 더 꼼꼼하게 살펴봤더라면 좋았을 것"이라면서도 "학생들에게 도움을 주기 위해 학교 시스템에 자료를 올리긴 했지만, 강의가 토론 위주로 진행되므로 수업 시간에는 사용한 적이 없다"라고 주장했다. 아울러 애로우드 교수는 이번 사건을 겪고 나서야 AI의 도움으로 만든 자료에는 오류가 있다는 점을 깨달았다고 덧붙였다.

노스웨스턴대 측은 이번 사건 이후 공식적인 AI 사용 가이드라인을 내놨다. AI 사용 시 반드시 사용 사실을 밝혀야 하며 결과물에 대해 정확성과 적합성 검토를 해야 한다는 내용이 포함돼 있었다.


한편 NYT는 미국 대학생들이 즐겨 쓰는 강의 평가 사이트에 담당 교수가 AI에 지나치게 의존한다는 불만이 늘었다고 전했다. 이들은 '교수는 써도 학생은 못 써'라는 식의 위선을 지적하면서 "우리가 거액의 등록금을 내는 것은 사람의 가르침을 받기 위한 것이지, 우리도 공짜로 물어볼 수 있는 알고리즘의 가르침을 받으려는 것이 아니다"라고 비판했다.


지난해 가을 서던뉴햄프셔대에서 인류학 온라인 강의를 들은 한 대학생은 교수가 자신의 과제물을 읽어보지도 않았다고 주장했다. 그는 "교수가 챗GPT에 입력한 지시내용이 과제물의 피드백에 들어있었다"라고 주장했다. 이 학생이 수업에서 이 얘기를 꺼내자 담당 교수는 "학생들의 과제물을 읽기는 했다"며 "학교 정책이 허용하는 대로 챗GPT를 가이드로 사용했을 뿐"이라고 해명했다.


생성형 AI를 사용하는 교수들은 "AI를 수업 준비에 이용하는 것이 도움이 되고 이를 통해 시간을 절약해 교육을 더욱 충실히 할 수 있다"며 "단조롭고 기계적인 업무 부담이나 학생들의 초보적인 의문을 해소해주는 데에 들이는 시간을 줄이고 학생 면담 등에 시간을 더 낼 수 있다"라고 반박했다.





구나리 기자 forsythia26@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