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F정리 독려…예보한도 상향 '머니무브' 관리도
금융감독원이 19일 OK저축은행을 시작으로 저축은행 10여 곳을 현장검사 한다. 연체율이 높은 상황에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사업장 정리를 미룬다고 판단되는 저축은행 10여곳을 하반기까지 순서대로 현장검사 한다.
18일 금융 감독당국과 저축은행업계에 따르면 금감원은 이주 자산 2위 저축은행 OK저축은행 현장 검사에 돌입한다.
금감원은 연체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일부 저축은행 10여 곳을 선별해 올 하반기까지 순차적으로 현장검사를 벌인다.
그동안 현장점검이나 예금보험공사와의 공동검사 위주로 저축은행 건전성을 관리하다 대규모 검사인력을 동원하는 현장검사로 방향을 튼 것으로 보인다.
금감원은 업계 최대 수준인 OK저축은행의 자산 규모를 고려해 통상적인 저축은행 검사인력(6~7명)의 2~3배를 현장에 투입할 것으로 알려졌다.
금감원은 이번 검사를 통해 부실 정리와 충당금 적립 등 건전성 및 리스크 관리 전반을 살펴볼 계획이다.
지난해 6월부터 PF 사업성 평가 기준을 강화하며 부실 사업장 정리를 독려해 왔지만, 일부 저축은행 정리 작업이 지연되면서 연체율이 낮아지지 않고 있다.
OK저축은행의 지난해 말 연체율은 9.05%다. 79개 저축은행 평균 연체율은 지난해 말 8.52%로 2023년 말(6.55%) 대비 1.97%포인트 상승했다. 2015년 말(9.2%) 이후 최고치다.
PF 성격 대출의 연체율은 18.9%로 2023년 말(8.6%) 대비 2배 이상 급등했다. 일반기업 대출도 같은 기간 7.6%에서 9.0%로 올랐다.
금감원은 OK저축은행이 부실 자산 정리에는 소극적이면서도 인수합병(M&A)을 통한 외형 확장 시도에는 적극적인 점에도 문제가 있다고 보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장검사는 오는 9월1일 시행되는 예금보호한도 1억원 상향과 맞물려 건전성 감독을 강화하려는 선제 조치로도 풀이된다.
저축은행 등 2금융권은 시중은행보다 수신금리를 높게 제공하는 만큼 대규모 자금 이동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금감원은 2금융권에 과도한 자금이 몰리면 PF 등 고위험 분야 투자가 다시 자극받을 가능성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금감원은 국내 79곳 저축은행에 연체율 관리 목표를 제출하라고 요구한 상태다.
또한 19일 저축은행 최고경영자(CEO)와 임원 등을 대상으로 하는 건전성 관리 워크숍을 연다.
금융 감독당국 관계자는 "연체율 관리 목표를 받아 2분기 중 연체채권을 최대한 정리하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문채석 기자 chaeso@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