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싸지는 자전거…전문털이범 표적
"보안장치 설치 등 예방 조치해야"
직장인 김모씨(36)는 지난해 산악자전거 동호회에 가입하면서 600만원짜리 자전거를 구매했다. 그러나 얼마 지나지 않아 서울 중랑구 봉화산 입구 인근에서 도둑을 맞았다. 철제 기둥에 묶어뒀지만 소용없었다.
자전거 이용 인구가 1200만명에 달하고 동호회도 활성화된 시대다. 그런데 '중고차 한 대 가격'이라는 자전거를 노린 도둑도 기승을 부리고 있다. 2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국내 자전거 가격은 점점 비싸지는 추세다. 자전거 동호회 회원을 중심으로 수백만 원, 수천만 원을 호가하는 로드바이크, 산악자전거, 전기자전거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면서다. 신정휘씨(38)는 "회원 간 모델별 성능 비교도 활발하고, 가격이 비쌀수록 동호회 내 위상이 높아질 수밖에 없어 무리해서라도 비싼 자전거를 사는 회원들이 있다"고 했다.
경찰청에 따르면 2023년 한 해 동안 자전거 절도 범죄 건수는 1만1555건으로 상점 절도(4126건), 빈집 절도(2947건), 소매치기(247건) 등 다른 절도 범죄 유형보다 많았다. 경찰 관계자는 "자전거 전문 털이범들에게 동호회 모임이 활발한 지역이나 CCTV가 적은 산책로 인근은 단골 범행 장소"라고 했다.
자전거 절도범 검거율은 낮은 실정이다. 2023년 전체 절도 범죄 검거율은 66.9%였지만 자전거 절도는 37.7%에 그쳤다. CCTV 사각지대에서 빈번하게 발생하고 자전거 고유등록번호 등록율도 저조해 추적 역시 어렵기 때문이다. 자전거를 도둑맞은 경험이 있는 한모씨(35)는 "경찰에 도난 신고를 했지만 몇 달 동안 연락이 오지 않았다"며 "절도범이 이미 자전거를 되팔고도 남았을 시간인 것 같아 포기했다"고 말했다.
피해자 일부는 직접 도둑 잡기에 나서보기도 한다. 이 경우 주로 중고거래 사이트를 통해 장물을 살펴보는데 최근들어 절도범들이 자전거를 휠셋, 프레임, 안정, 변속기 등으로 분해해 되팔기도 해 별 소득이 없다고 한다.
이 때문에 피해를 줄이기 위해선 철저한 예방 조치와 함께 공공장소의 CCTV 인프라 확충 등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곽대경 동국대 경찰행정학과 교수는 "고가 자전거일수록 소유주가 잠금 장치를 생활화하고, 도난 경보기를 비롯한 보안 장치를 부착하는 등 적극적인 대비가 필요하다"고 했다.
변선진 기자 sj@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