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나 혼자 산다' 천만…빈곤·고립은 더 심해졌다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사회적 배제' 오히려 더 악화…경제적 박탈 개선도 미미

1인 가구의 사회적 단절과 고립이 과거보다 더 심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가구의 경제적 빈곤 수준은 개선되고 있었지만, 1인 가구의 개선 속도는 상대적으로 더뎠다.


연합뉴스는 16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빈곤 개념 및 측정 동향과 정책적 시사점' 보고서를 인용해 이를 보도했다.

1인 가구. 연합뉴스

1인 가구. 연합뉴스

AD
원본보기 아이콘

보고서에 따르면 2003년과 2021년 국민생활실태조사를 분석한 결과 전체 가구의 '경제적 박탈' 점수는 이 기간 평균 1.13점(박탈지표 10개 중 해당하는 1개당 1점)에서 0.96점으로 0.17점 줄었다. '사회적 배제' 점수는 1.52점에서 1.47점으로 0.05점 낮아졌다.


1인 가구의 경우 경제적 박탈 점수는 이 기간 1.75점에서 1.72점으로 0.03점 미미하게 감소했다. 사회적 배제 점수는 2.61점에서 2.83점으로 오히려 0.22점 증가했다.


이 수치는, 18년간 전체 가구의 경제적 박탈이 많이 감소했다는 걸 보여준다. 또 사회적 배제는 소폭 감소했는데, 1인 가구의 경우 사회적 배제는 오히려 증가했다. 경제적 박탈과 사회적 배제 모두 '박탈' 상태를 나타내는 사회학적 용어다. 보고서는 경제적 박탈은 물질적 결핍에 가깝고 사회적 배제는 참여와 관계 영역까지 포함하는 개념이라고 정의했다.

경제적 박탈 측정 문항에는 돈이 없어 끼니를 거르거나 공과금을 내지 못한 적 있는지 질문이 담긴다. 사회적 배제 측정 문항은 어려울 때 이야기하거나 위로받을 친척·친구가 있는지, 1개월에 1번 이상 가족 외식을 하는지 등 질문이 포함되어 있다.


이를 두고 보고서는 1인 가구의 사회적 관계 단절과 고립이 더 심화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해석했다.


또 1인 가구는 2인 이상 가구와 비교해 경제적 빈곤의 절대적 수준도 높고 개선 속도도 느렸다.


연합뉴스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합뉴스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원본보기 아이콘

보고서에 따르면 1인 가구의 빈곤율은 2021년 기준 41.4%(균등화된 중위 경상소득 50% 기준)로 전체 가구 13.7%의 3배 수준이다. 2003년과 비교해 2인 가구는 빈곤율이 34.8%에서 21.3%로, 3인 이상 가구도 절반 내지 3분의 1 수준으로 크게 줄어든 데 반해 1인 가구는 47.3%에서 5.9%포인트 줄어드는 데 그쳤다.


한편, ‘나 혼자 사는’ 1인 가구 수는 지난해 4월 1002만1413세대를 기록하며 처음으로 1000만 세대를 돌파했다. 이후에도 증가세는 계속돼 지난해 12월 기준 1인 가구는 1012만2587세대, 전체의 41.9%를 차지했다.





김은하 기자 galaxy656574@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