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부처와 금융기관에서 시행 중인 창업지원 사업 수는 236개에 이른다. 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은 이 같은 중구난방식 지원 제도가 오히려 이용자를 혼란에 빠트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기관별, 제도별로 필요한 서류와 절차가 모두 달라 활용하기가 어렵다. 그 내용도 현실과 거리가 있는 행정편의 중심의 절차와 규정으로 이뤄져 있어 효율적인 창업지원 기능을 하지 못한다.
제도만이 아니다. 청년창업이 새로운 도전, 신선한 아이디어보다는 생계형에 몰리는 현상도 문제다. 한국개발연구원 경제정보센터가 20대 예비창업자 1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를 보면 카페ㆍ커피전문점(27.9%)과 치킨집 등 음식점(17.8%)이 '창업하고 싶은 업종' 1, 2위에 올랐다. 정보기술(IT)은 5.0%, 앱 개발은 4.8%에 그쳤다.
청년 백수시대, 창업지원책이 쏟아져도 효과를 거두지 못한 채 겉돌고 있는 데는 그만한 이유가 있는 것이다. 미국, 노르웨이 등 청년창업이 활발한 나라의 혁신형 창업 비율은 90%를 웃돈다. 한국은 그 비율이 절반에도 못 미친다. 경쟁이 치열한 생계형 레드오션에 경험 없이 뛰어드니 실패하기 십상이다. 박근혜정부가 내세운 '창조경제'의 실현을 위해서도 창의적 청년창업을 활성화하기 위한 국가적 고민이 필요하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