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당선인, 조각 첩첩산중
박 당선인은 여야(與野)가 당초 정부조직개편안을 처리키로 한 시점인 오는 14일 직후에 새 정부 첫 내각의 장관 후보자들을 발표할 방침이었다.
그런데 이마저 어려운 지경이 됐다. 14일에 개편안이 처리되는 게 난망해졌기 때문이다.
여야는 박 당선인의 '야심작'으로 꼽히는 신설 미래창조과학부로 방송통신위원회의 방송 정책 및 입법ㆍ예산 기능을 이관하는 문제를 놓고 대치하고 있다.
정부조직개편안에서 명칭이 안바뀌거나 개편되지 않은 부처는 전체 17개 가운데 7개에 불과하다.
아직 구상 단계에 불과한 신설 또는 개편 부처의 수장을 미리 지명하는 건 앞뒤가 안 맞는다.
박 당선인이 '개편안 국회처리 직후'로 발표 시점을 잡았던 건 이 때문이다.
인수위의 한 관계자는 12일 기자와의 전화통화에서 "아직 시점과 관련해 이렇다 저렇다 할 수 있는 말이 없다"고 말했다.
박 당선인 입장에서는 ▲신설 또는 개편이 되지 않는 부처의 장관 후보자부터 먼저 발표하는 방안 ▲여야가 본회의 처리 여부나 특정 부처의 구체적인 기능 문제와 별개로 개편안의 큰 틀 자체를 합의하면 바로 발표하는 방안 ▲예정대로 국회 처리를 기다렸다가 발표하는 방안 등을 생각할 수 있다.
첫째나 둘째 방안을 택해도 후보자들이 청문회를 거쳐 정식 임명되기까지는 셋째 경우를 택하는 것과 결과가 같을 것으로 보인다.
국회가 극단적인 유연성을 발휘해서 탄력적으로 청문회를 진행하거나 대승적 합의를 하기가 현재로서는 어려워보이기 때문이다. 박 당선인 취임 뒤에 청문 절차가 진행될 지도 모르는 상황이다.
박 당선인이 취임 뒤 첫 국무회의를 이명박 정부 국무위원들과 진행할 것이란 전망은 기정사실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박 당선인이 자신의 내각과 국무회의를 진행하는 건 3월 중순 이후에나 가능할 것이란 관측도 있다.
김효진 기자 hjn2529@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