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이윤재 기자] '박근혜 정부' 출범이 13일 앞으로 다가왔지만 아직 새 정부 '윤곽'조차 가늠할 수 없는 상황이다. 장관인선과 국회의 정부조직법 처리, 인사청문회 통과 등 산적한 과제로 인해 새 정부의 국무회의는 이명박 정부의 국무위원들과 진행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박 당선인의 2차 인선은 이르면 13일 늦어도 이번 주중에 이뤄질 것으로 예상되지만 장관 인선의 경우 국회조직법 통과와 맞물려 있어서 박 당선인이 무작정 앞서나가기도 곤란한 상황이다. 법에도 없는 장관을 임명하면 '대통령 당선인이 국회와 법률을 무시한다'는 비난에 직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같은 상황을 피하기 위해 14일 우선적으로 기존 부처에 대한 인선을 진행하고, 이후에 정부조직법 개편 이후 신설되는 미래창조과학부, 해양수산부 등의 장관을 발표 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다. 그러나 미래창조과학부의 기능, 방송통신위원회의 역할 등을 둘러싸고 여야간의 이견이 좁혀지지 않아 정부조직법 통과도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새정부의 장관 인선이 원만하게 이뤄지기 힘들다는 설명이다.
정 총리후보자와 함께 17명의 장관 후보자의 국회 인사청문회 통과도 낙관할 상황은 아니다. 민주당은 총리 후보자에 대해서도 '꼼꼼한 검증을 하겠다'고 밝혔던 만큼 국무위원 인사청문회도 호락호락하게 넘어갈 가능성은 없다. 이 과정에서 1~2명의 장관 후보자가 낙마한다면 이 또한 박 당선인의 신뢰도에 심각한 타격을 준다. 당선이후 인선이 있을 때마다 문제로 지적됐던 '밀봉 인사', '불통 인사'가 반복돼 '회복 불능'이라는 낙인이 찍힐 수도 있다.
또 야당이 철저한 검증을 위해 인사청문회법에 보장된 시한인 임명동의안 통과시한인 20일을 채운다면 새정부 출범전 장관인선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때문에 박 당선인이 야당과 좀 더 적극적인 대화를 나눠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반도를 둘러싼 문제와 관련한 외교 사안도 박 당선인이 떠안아야 할 짐으로 평가된다. 북한이 3차 핵실험을 할 가능성을 내비추면서 북한의 도발을 막고, 한반도 평화를 유지 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 이를 위해 박 당선인은 7일 민주통합당 문희상 비상대책위원장과 새누리당 황우여 대표와 3자회동을 갖고, 한 목소리로 북한을 압박했지만 북한의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앞으로는 야당과의 공조와 더불어 미국과 중국, 일본, 러시아 등 한반도를 둘러싼 4강국과의 외교를 통해 북핵을 억제하는 것도 필요하기 때문에 박 당선인의 외교력에 대한 잣대가 될 것이라는 해석도 나타나고 있다.
이윤재 기자 gal-run@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