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남을 신경 쓰고 사는 사람은 아닌 것 같아요. 제가 무엇을 원하는 지에 더 신경이 쓰이지 남들이 저한테 원하는 것에 대해서는 그다지 고민하지 않아요.” 2007년 <밀양>으로 칸 영화제에서 여우주연상을 수상한 이후 전도연의 이름은 ‘칸의 여왕’, ‘칸이 인정한 여배우’ 등 국제적인 수식어에 질식하기 직전이었다. 그러나 늘 “느껴지는 만큼” 연기했을 뿐인 그녀에게 이 요란한 공치사는 그저 지나가는 순간이었다. “저를 둘러싼 수식어들이 롤모델, 칸,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그건 남들의 시선일 뿐이에요. 그들이 제게 얼마나 기대하고 무엇을 보고 싶어 하는지는 잘 모르지만 저는 제가 하고 싶어 하는 것만 열심히 하면서 살고 싶어요. 물론 그런 수식어들이 기분이 좋긴 하지만 그렇기 때문에 ‘더 이런 모습의 배우로 남아야 돼’ 그런 건 없어요.”
이것은 <밀양> 이후 <하녀>로 다시 한 번 칸을 찾은 뒤에도 <카운트다운>을 선택한 전도연의 근거가 된다. 온전히 아이를 잃은 후의 신애의 뒤를 쫒았던 <밀양>과 <하녀>로 여전히 극의 무게 중심이었던 그녀를 지켜본 이들에게 <카운트다운>은 의외의 한 수다. “태건호(정재영)의 드라마”를 더 꼬이게 만드는 차하연은 “장치적인 캐릭터”로 소비될 수 있고, 분명 이야기의 “주”가 아니다. 순간 순간 배우로서 도드라지고 싶은 욕심이 튀어나오지는 않았냐는 질문에 전도연은 담담히 답했다. 그리고 그 안에 모든 배우가 귀담아 들었으면 하는 열연과 과잉의 경계에 대한 지침이 있었다. “음... 그냥 아무것도 하지 않아도 됐어요. 차하연은 이미 만들어진 게 완벽한 캐릭터라서 거기다 무언가를 더하면 오버가 될 수 있어요. 그냥 ‘적당히’가 베스트였죠. 그녀의 드라마가 아니니까. 덜하지도 않고 너무 빠지지도 않고 적당한 수준을 유지하는 게 중요했어요. 제가 주가 아니라 일부이더라도 작품이 좋으니까 한 것이고, 그 안에서 어떤 몫을 해야 할지 알아야죠.” “연기 앞에선 선후배도 없다”고 생각하고, “연기 외엔 끊임없이 열정을 가지는 것”도 없는 투철한 배우 전도연. 그럼에도 자신이 배우란 것을 잊게 되는 순간은 영화를 볼 때다. 다음은 그녀를 여배우가 아닌 순수하게 관객으로 돌아가게 만든 영화들이다.
<#10_LINE#>
1. <첨밀밀> (Comrades: Almost A Love Story)
1996년 | 진가신
“참 아름다운 영화죠. 말랑말랑한 멜로이면서도 아련함이 오래 남는 사랑 이야기예요. 물론 여배우로서 장만옥이 연기한 여자 주인공은 해보고 싶다는 생각도 물론 들지만 요즘은 로맨틱 코미디가 더 좋을 것 같아요. 밝고 즐거운 드라마를 찍고 싶더라구요. 보고 있으면 그냥 즐거워지는 그런 작품이요.”
2. <귀향> (Volver)
2006년 | 페드로 알모도바르
“제가 원래 감독이나 배우들의 이름을 잘 못 외워요. 그래서 ‘이 영화 보니까 너무 좋더라’ 그리고 ‘저 영화도 진짜 좋더라’ 하고 얘기하고 있으면 사람들이 ‘그 두 영화, 감독이 같은 사람이야’ 할 정도거든요. (웃음) 그런데도 페넬로페 크루즈 이름은 기억하죠. 너무 좋아하거든요. 할리우드 영화에서 처음 그녀를 봤는데, 그 때는 그렇게 인상에 남진 않았어요. 그런데 <귀향> 같은 스페인 영화에서 보면 너무 좋더라구요.”
페드로 알모도바르 감독의 영화에서 색은 하나의 인격체로 존중받으며 등장한다. 완벽하게 배치된 보색과 문양들은 때로는 현기증을 일으킬 정도다. <귀향>에서도 여주인공의 부엌에서, 옷장에서 감독 특유의 감각을 느낄 수 있다. 그리고 그 아름다움은 라이문다(페넬로페 크루즈)와 가족들의 아픔과 치유를 통해 깊이를 얻는다.
2004년 | 세르지오 카스텔리토
“이 영화를 보면서 정말 놀랐어요. 페넬로페 크루즈가 연기한 이딸리아야 말로 진짜 팜므파탈이 아닌가 싶어요. 차하연도 그렇고, 한국에도 팜므파탈적인 여성 캐릭터들이 많았지만 이딸리아 만큼 치명적일까요? 너무 멋있었어요. 감동을 참 많이 받아서 가슴이 벅찰 정도였죠. 강하고, 강렬하고, 가슴 아픈 영화예요. 제가 본 영화중에서 이 정도로 치명적인 여자가 있었나 생각해봤는데 없더라구요. 욕심나는 캐릭터냐구요? 아니에요, 영화 보는 내내 ‘난 못하겠다’ 싶던걸요. (웃음)”
벌어진 앞니, 퀭한 두 눈, 남루한 옷차림. 언제나 아름다웠던 페넬로페 크루즈는 <빨간 구두>에서 모든 것을 벗어 던졌다. 실제로도 “감정적으로 벌거벗었다”고 밝힌 바 있는 그녀가 연기한 이딸리아에게 중요한 것은 오로지 사랑뿐이다. 사랑을 지키기 위해 결국 자신은 지키지 못한 그녀, 그리고 모든 것을 가졌지만 끝내 이딸리아와 함께 하지 못한 띠모떼오(세르지오 카스텔리토). 이들의 빨간 구두 한 짝에 담긴 비극의 무게는 오랫동안 마음을 짓누른다.
4. <오픈 유어 아이즈> (Open Your Eyes)
1997년 | 알레한드로 아메나바르
“그러고 보니 페넬로페 크루즈는 정말 좋은 작품에 많이 출연했네요. 페넬로페 크루즈의 매력이요? 일단 예쁘고, 연기도 잘 하고. 또 그게 다 인 것처럼 보이지만 그게 다가 아니거든요. 영화에서 그녀의 연기를 보고 놀란 적이 많아요. <오픈 유어 아이즈>에서도 역시 절 놀라게 했죠.”
사고로 얼굴을 잃게 된 세자르(에두아르도 노리에가)는 모두에게 외면당하고 사랑하는 여자에게도 버림 받지만 어느 날 갑자기 모든 비극이 환희로 뒤바뀐다. 꿈과 현실의 경계를 지우면 슬픔도 지울 수 있기에 눈을 떠도 여전히 꿈을 꿀 수밖에 없는 한 남자의 세계가 스릴러와 미스터리, 판타지를 오가며 펼쳐진다. 할리우드에서 리메이크한 <바닐라 스카이>보다 원작인 <오픈 유어 아이즈>를 먼저 볼 것을 권한다.
5. <그녀에게> (Talk To Her)
2002년 | 페드로 알모도바르
“직업이 배우지만 영화를 볼 때, ‘저 배우는 어떻게 연기 했나’ 고민하면서 보진 못해요. 순수하게 관객으로서만 봐요. 영화는 객관적으로 보고 어떤 캐릭터를 욕심내거나 염두에 두면서 보진 않아요. <그녀에게>에도 정말 좋은 여성 캐릭터들이 많이 등장하지만 그건 그 배우들이 누릴 수 있는 혜택이고, 저는 나름대로 한국에서 배우로서 누릴 수 있는 걸 누리고 있다고 생각해요. 물론 부럽긴 하죠. 그녀들에겐 다양한 작품들이 있고 어떤 것에도 구애받지 않고 여배우가 아니라 배우로서 존중받고 있다는 생각이 들거든요.”
<그녀에게>는 아름답다. 햇살에 푹 잠긴 스페인의 곳곳은 연인들의 과거와 현재를 예쁘게 윤색해준다. <그녀에게>는 슬프다. 이제는 결코 닿을 수 없는 식물인간이 된 연인과의 사랑은 안타까울 수밖에 없다. <그녀에게>는 기묘하다. 두 연인들의 사랑을 고운 색으로 칠하지만 ‘저들이 하고 있는 것이 과연 사랑인가’하는 의문을 끝내 지우지는 못한다. 제 75회 아카데미 시상식 각본상 수상작.
<#10_LINE#>
“뭐든 의도하거나 계획하거나 어떤 캐릭터나 작품을 꿈꿔서 된 적은 한 번도 없었어요. 주어진 것에 만족하고 충실한 것 외에는 답이 없더라구요. 어떤 분들은 제작도 해봐라 조언하기도 하는데 저는 그렇게까지 적극적인 배우는 아니에요. 그냥 할 수 있는 것에서 최선의 선택을 하는 게 제일 저답고 그렇게 해왔던 것 같아요. 어떻게 보면 소극적일 수 있는데 그 이상의 무엇이 제게 없더라구요. 연기 외에 끊임없이 열정을 가지고 있는 다른 일도 없구요. (웃음)” 배우로서 자신이 걸어온 길을 말하는 전도연의 대답은 기운이 빠질 정도로 거창하지 않다. 그녀 앞에는 그저 매 순간 “혼자 카메라 앞에서 견뎌”왔던 지난날과 현재가 있을 뿐이다. 하지만 이 심심한 대답에 오히려 안심이 되는 건 왜일까. 전도연은 앞으로도 그녀의 마음이 가는대로 연기를 할 것이고, 그 빛나는 순간들을 오랫동안 지켜볼 수 있을 것 같은 예감 때문일 것이다.
<10 아시아>와 사전협의 없이 본 기사의 무단 인용이나 도용, 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이를 어길 시 민, 형사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