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성공한 러시아 사업가인 줄 알았는데…암호화폐 업자의 실체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암호화폐 결제 시스템 '에비타페이' 대표, 돈세탁 혐의

성공한 암호화폐 기업가로만 알려졌던 미국 거주 러시아인의 실체가 드러났다. 그는 사실 자국인 고객 등을 위한 돈세탁 업자였다. 범행 과정에는 한국 기업도 연루됐다고 알려졌다.


연합뉴스는 10일 미국 뉴욕 동부검찰청을 인용해 암호화폐 결제 시스템 '에비타페이'의 유리 구그닌(38) 대표가 재판에 넘겼다고 보도했다. 그는 2023년 6월부터 2025년 1월까지 미국 금융시스템 등을 속여 약 5억3000만 달러(약 7245억원)를 돈세탁한 혐의를 받는다.

비트코인 토큰. AP 연합뉴스

비트코인 토큰. AP 연합뉴스

AD
원본보기 아이콘

구그닌은 2022년 미국 뉴욕에 자리를 잡았는데, 사업, 과학, 운동 등 분야에서 뛰어난 능력을 갖춘 외국인에게 부여되는 0-1A '특기자' 비자도 보유했다.


뉴욕 검찰의 공소장에서 확인된 구그닌의 실제 모습은 러시아인을 주요 고객으로 둔 돈세탁 업자였다.


러시아인 등은 국제 금융제재 탓에 해외 결제가 자유롭지 않았는데, 이들이 암호화폐를 송금하면 구그닌은 그 돈을 받아 다수의 암호화폐 지갑과 미국 내 계좌 등을 복잡하게 거치면서 자금의 출처를 불명확하게 했다.

돈세탁이 완료된 자금은 아무런 문제가 없는 미국 달러화나 다른 법정화폐의 모습을 갖췄다. 이런 돈은 고객이 지정한 결제처에 지불되는 방식으로 쓰였다. 그가 세탁한 돈이 지불된 업체 중에는 한국 기업도 있었다.


지난해 3월 구그닌은 러시아 고객의 요구에 따라 홍콩의 한 무역회사를 거쳐 한국 기업의 계좌에 자금을 송금했다. 이 한국 기업은 홍콩 무역회사와의 계약대로 러시아 모스크바의 모 업체에 장비와 부품을 발송한 곳으로 알려졌다. 다만, 공소장에 한국 기업명은 명시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한국 기업에 배송받은 모스크바의 업체는 러시아 국영 원전기업 로사톰의 관계사였다. 구그닌은 유사한 방식으로 러시아 고객이 미국 기업에서 설계한 서버 제품을 사들이는 데 도움을 주기도 했다. 이 제품은 수출 통제 조치로 러시아인이 구매할 수 없다.


구그닌의 공소장에는 은행 사기, 송금 사기, 제재 회피, 돈세탁, 수출제한 규정 위반 등 22개 범죄사실이 적시됐다.





김현정 기자 kimhj2023@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