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예보, 부실 우려 저축은행 정조준
수도권 대형사마저 BIS비율 떨어지는 중
순손실·부실채권…안정성 악화요인 산재
금융감독원과 예금보험공사가 수도권 대형 저축은행까지 공동검사에 나서며 위기 대응 능력을 높이기 위한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국내·외 경제 불확실성이 이어지는 상황에서 저축은행 업계의 국제결제은행(BIS) 자기자본 비율이 권고 기준에 미달할 우려가 커지자 손실흡수능력을 지속적으로 제고하겠다는 계획의 일환으로 분석된다.
5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감원과 예보가 수도권 대형 저축은행을 대상으로 공동검사에 착수했다. 일부 수도권 대형사의 최근 BIS 비율이 권고 기준에 미달하자 부실 우려가 있는 저축은행에 대한 선제적인 관리에 들어간 것으로 풀이된다.
금감원은 저축은행의 BIS 비율이 7~8% 아래로 떨어지면 경영개선을 지도할 수 있다. 자산 1조원 미만 저축은행은 7% 이상으로, 자산 1조원 이상은 8% 이상으로 BIS 비율을 유지해야 한다. 금감원은 여기에 3%포인트를 더해 권고 기준(10%, 11%)을 두고, BIS 비율이 권고 기준 밑으로 내려간 저축은행에 자본확충 방안, 유상증자 계획, 재무구조 관리 등을 담은 자본조달계획을 요구하고 있다.
예보는 예금자보호법 및 시행령에 따라 자산 1조원 이상 저축은행의 BIS 비율이 10% 미만으로 떨어지면 단독 조사에 나설 수 있다. BIS 비율의 하락 추세와 하락폭 등을 고려해 금감원과 협의한 뒤 저축은행의 부실 여부 기준이나 예금자보호 조치 등을 단독으로 조사할 수도 있다.
두 기관이 공동검사에 나선 건 올해 상반기 결산 공시 이후 지난 7~8월에도 부실 저축은행이 늘어난 영향이라고 풀이된다. 저축은행 업계의 월간 순손실이 이어질수록 이익잉여금이 깎이며 자기자본이 감소할 우려가 크다. 저축은행들이 연체율 관리를 위해 부실채권을 정리하는 과정에서 기존에 쌓아둔 대손충당금 이상의 손실이 발생해 처분손실이 생긴다면 역시 경영안정성이 악화한다.
실제 수도권 대형 저축은행에선 BIS 비율을 악화할 요인이 산재해 있는 모습이다. 자산 규모 상위 10개 저축은행(SBI·OK·한국투자·웰컴·애큐온·다올·페퍼·신한·하나·상상인)은 올해 상반기 751억원의 순손실을 기록했다. 이들 저축은행의 손실 규모는 전년 동기 대비 약 7배 확대됐다. 상위 10개사에서 발생한 부실채권(고정이하여신) 규모는 총 5조486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4.8% 늘었다.
저축은행 업계의 한 관계자는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업성 평가 기준이 강화되면서 충당금을 추가로 적립한 탓에 손실이 커졌다”며 “대내외 불확실성이 커진 만큼 차주들의 채무상환 능력이 악화했고, 개선된 부동산 PF 사업성 평가에 따라 신규 부실이 발생하자 저축은행 업계의 고정이하여신도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저축은행 업계의 부실 우려가 커지는 만큼 올해 하반기에도 금감원이나 예보의 검사가 확대될 가능성도 있다. 오화경 저축은행중앙회장은 지난달 30일 출입기자 설명회에서 “수익성 개선 시점은 (부실 사업장) 정리 속도와 양에 따라 달라진다”며 “현재 예상으로 보면 향후 1년간 적자를 벗어나기 어렵다. 빠르면 올해 연말 아니면 내년 상반기까지 적자를 유지하지 않을까”라고 말했다.
앞서 금감원은 BIS 비율이 권고 기준에 미달한 상상인·상상인플러스·바로·라온저축은행 등 저축은행 4곳에 유상증자와 위험가중자산 축소 등 자본조달계획을 요구했다. 연체율과 고정이하여신비율이 높은 저축은행 중 지난 6월 3곳을 대상으로 경영실태평가에 들어갔고, 지난달 말에는 4곳을 대상으로 평가에 나섰다. 여기에는 지방 중소형 저축은행은 물론 수도권 저축은행도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경영실태평가는 건전성 지표가 일정 수준에 미달하는 금융기관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감독 절차다.
임철영 기자 cylim@asiae.co.kr
전영주 기자 ange@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승무원은 모두 알고 있다"…기내 커피의 '더러운 ... 마스크영역<ⓒ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