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뉴욕=조슬기나 특파원] 지난해 미국에서 판매된 신차 규모가 11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진 것으로 추산된 가운데 전기차 판매는 대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테슬라, 포드에 이어 특히 현대차와 기아의 약진이 두드러졌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6일(현지시간) 시장조사업체 모터인텔리전스 자료를 인용해 2022년 미국의 전기차 판매가 전년보다 3분의 2가량 늘어났다고 보도했다. 같은 기간 미국의 전체 자동차 판매량이 8% 감소한 것으로 추산된 것과 대조적이다.
지난해 미국에서 팔린 전기차는 총 80만7180대로 집계됐다. 전체 자동차 판매량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5.8%였다. 2021년 3.2%에서 두 배 가까이 확대된 것이다.
테슬라는 미국에서 판매된 전기차의 65%를 차지해 여전히 시장을 지배했지만, 전년도(72%)에 비하면 비중이 축소됐다. 포드는 7.6%를 차지해 2위에 올라섰다. 이어 현대차와 기아가 합계 7.1%의 점유율을 기록했다. 반면 제너럴모터스(GM)는 배터리셀 결함에 따른 쉐보레 볼트 판매 일시 중단으로 순위에서 밀렸다. 폭스바겐과 닛산도 미 전기차 시장 점유율이 줄어들었다.
향후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Inflation Reduction Act·IRA) 시행으로 전기차 경쟁 구도는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인플레 감축법은 북미산 전기차 구매자에게 최대 7500달러의 세금 공제를 지원하는 것이 골자다.
WSJ는 북미에서 조립되지 않았더라도 리스 차량의 경우 최대 7500달러의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도록 한 세부 지침이 현대차에 혜택을 줄 것으로 예상했다. 반면 일부 모델이 보조금 수혜 대상에서 제외된 포드와 테슬라는 타격을 받을 것으로 내다봤다. 포드의 머스탱 마하-E와 테슬라의 모델Y 일부 버전은 스포츠유틸리티차(SUV)가 아닌 승용차로 분류돼 세액공제를 받지 못하게 됐다.
뉴욕=조슬기나 특파원 seul@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