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기 노선 대다수 외항사 차지"
대한항공 "해당 노선 운항 포기 아니야"
[아시아경제 성기호 기자]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합병으로 유럽과 미주, 호주 노선에서만 주 69회의 항공편을 다른 항공사에 내줘야 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이 경우 대한항공이 포기하는 노선 대다수를 외항사가 차지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다만 대한항공측은 신규진입을 희망하는 항공사가 슬롯(공항 출도착 시간대)을 얻지못할경우 통합항공사가 슬롯을 제공하는 것일 뿐이며 해당 노선의 운항을 포기하는것은 아니라는 입장이다.
6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박상혁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은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합병 이후 장거리 노선 대체 필요 항공 편수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양사가 운항하는 유럽·호주·미주 노선의 운항 편수(2019년 기준) 주 183회 중 69회를 다른 항공사가 대신 운항해야 한다고 밝혔다.
합병을 위해서는 각국 규제당국의 기업결합 심사를 통과하기 위해 노선 점유율을 일반적인 독과점 기준인 50% 이하로 낮춰야 하기 때문이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은 인천~파리 노선을 주 12회 운항해 점유율이 60%에 달한다. 점유율을 50% 아래로 맞추기 위해 주 3회 운항을 포기해야 한다. 또 점유율이 68%인 프랑크푸르트, 75%인 로마, 66%인 런던, 100%인 바르셀로나 노선의 경우에도 각각 주 4회, 3회, 4회, 4회씩 대체 항공사에 내줘야 한다.
미주 노선 역시 주 44회의 항공편을 대체 항공사가 운항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점유율이 100%인 인천~뉴욕에서 주 11회, 64%인 시애틀에서 2회, 100%인 LA(로스앤젤레스)에서 14회, 69%인 샌프란시스코에서 7회, 83%인 호놀룰루에서 10회를 내줘야 한다.
다만 대한항공은 해당 노선의 운항을 포기하는것은 아니라는 입장이다. 대한항공 관계자는 "한국 공정위도 이미 양사의 중복노선을 면밀하게 분석하고 통합 항공사의 점유율을 낮추기 위해 26개 국제노선과 8개 국내노선 슬롯반납 등의 구조적 시정조치와 이행 시점까지 가격 통제 및 공급량 유지의무 등의 행태적 시정조치를 부과한 바 있다"며 "단순히 전 노선 수송인원 등의 기준으로 항공사 점유율을 논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고 설명했다.
이어 "통합 후 경쟁환경 유지하기 위해 주요 중·장거리 노선에도 국내 항공사를 위한 진입 여건을 마련해 놓았으며, 이미 장거리 운항 의지가 있는 국내 LCC들을 대상으로 활발히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며 "다만 국내 LCC의 경우 장거리를 운항할 수 있는 항공기가 충분히 갖춰지지 않은 점을 감안, 이를 보완하는 차원에서 해외 항공사들과도 노선 진입 가능성을 협의 중"이라고 밝혔다.
대한항공 관계자는 "통합항공사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 국내 항공산업의 건전한 성장과 더불어 소비자 편익증진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꼭 봐야할 주요뉴스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