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단독]文대통령, 9月 러 동방경제포럼 참석…푸틴, 5월 방한 유력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RSS
문재인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지난해 6월 일본 오사카에서 가진 한·러 정상회담에서 악수를 나누고 있다. (사진=청와대)

문재인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지난해 6월 일본 오사카에서 가진 한·러 정상회담에서 악수를 나누고 있다. (사진=청와대)

AD
원본보기 아이콘


단독[아시아경제 손선희 기자] 문재인 대통령이 오는 9월 러시아에서 개최되는 제6차 동방경제포럼에 참석한다. 이에 앞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5월께 방한이 유력한 것으로 전해졌다.


10일 정부 및 여권 관계자들에 따르면 한ㆍ러 양국은 이 같은 정상 일정을 놓고 구체적 사항을 조율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러시아 정부 주최로 블라디보스토크에서 개최되는 동방경제포럼은 극동지역 개발을 위한 정상급 국제회의다. 푸틴 대통령은 집권 기간 내 정책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 이 회의에 매년 공을 들이고 있다. 문 대통령이 직접 참석하는 것은 취임 첫해인 2017년 이후 3년 만이다. 2018년에는 이낙연 전 국무총리가, 지난해에는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각각 정부 대표로 참석했었다.

올해는 한ㆍ러 수교 30주년을 맞는 해다. 정부는 수교 30주년의 의미를 극대화하는 차원에서 올해 경제협력 및 문화ㆍ인적 교류를 적극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여기에 정상급 외교전이 더해져 더욱 속도가 붙을 것으로 전망된다. 문 대통령은 지난달 초 신년사에서 "러시아는 신북방정책의 핵심 파트너"라며 "양국 수교 30주년이 되는 올해 신북방 외교의 새로운 전기가 마련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대통령 직속 북방경제협력위원회는 올해를 '신북방 협력의 해'로 천명하기도 했다.


푸틴 대통령은 오는 5월께 방한하는 일정이 유력하다. 문 대통령은 지난해 6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참석을 계기로 방문한 일본 오사카에서 한ㆍ러 정상회담을 갖고 "푸틴 대통령이 가급적 조속히 방한해 다양한 분야에 대해 심도 있게 대화를 나눌 기회를 갖게 되길 바란다"고 공식 초청했다. 당시 푸틴 대통령도 "적극 고려하겠다"고 화답했다.


올해 동방경제포럼에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참석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한ㆍ러 양국 정상의 상호 방문에 이어 동방경제포럼을 계기로 한ㆍ중ㆍ일ㆍ러 네 정상이 한자리에 모일 경우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도 주요 변곡점을 맞을 것으로 전망된다. 북한은 지난해의 경우 기존 장관급에서 부총리 급으로 격을 올려 리용남 내각 부총리를 포함해 7명의 대표단을 파견하기도 했다.



손선희 기자 sheeson@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이슈 PICK

  • 故정주영 회장 63세 며느리, 태극마크 달고 아시안게임 출전한다 농심, '먹태깡' 돌풍 여전…"600만봉 넘었다" "당 대표 체포안 통과에 웃음이 나냐" 개딸 타깃된 고민정

    #국내이슈

  • '폭군' 네로 황제가 세운 궁전… 50년 만에 재개장 [르포]"새벽 1시에 왔어요" 中, 아이폰 사랑은 변함없었다 "연주에 방해된다" 젖꼭지까지 제거한 일본 기타리스트

    #해외이슈

  • [포토] 무거운 표정의 민주당 최고위원들 조국·조민 책, 나란히 베스트셀러 올라 [아시안게임]韓축구대표팀, 태국 4대 0 대파…조 1위 16강 진출(종합)

    #포토PICK

  • 현대차 "안드로이드 오토·애플 카플레이, 무선으로 즐기세요" 기아, 2000만원대 레이 전기차 출시 200만원 낮추고 100만㎞ 보증…KG 새 전기차 파격마케팅

    #CAR라이프

  • [뉴스속 인물]폭스 회장직 물려받은 머독의 장남, 라클런 머독 [뉴스속 용어]헌정사 처음 가결 '국무총리 해임건의안' [뉴스속 용어]'연료비조정단가' 전기요금 동결 신호?

    #뉴스속OO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top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