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제조업메카로 부상한 멕시코]포드 BMW 도요타가 달려가니…5년내 글로벌 4위 생산국 발돋움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RSS
2003년 폭스바겐 멕시코공장에서 마지막 비틀 생산을 기념하는 기념식이 열리고 있는 모습<사진=폭스바겐>

2003년 폭스바겐 멕시코공장에서 마지막 비틀 생산을 기념하는 기념식이 열리고 있는 모습<사진=폭스바겐>

AD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이경호 기자]멕시코를 제조업메카로 재부상시킨 데에는 자동차산업이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현재 멕시코는 세계 7대, 중남미 1위의 자동차 생산국으로 자동차산업은 국내 제조업의 20%를 차지하며 생산량의 80% 이상이 수출된다. 자동차산업은 대당 2만개의 부품이 필요할 정도로 산업연관성이 높은 산업이다.

30일 자동차업계와 KOTRA에 따르면 멕시코의 자동차 산업은 전체 국내총생산(GDP)의 7%, 전체 수출의 15%,제조업 고용의 19%, 외국인직접투자(FDI)의 15%를 차지하는 국가 기간산업이다. 멕시코는 2014년부터 브라질을 제치고 세계 7대, 중남미 1위 자동차 생산국가(전세계 자동차 생산의 3.7%)로 등극했다. 2015년에도 전년대비 5.9% 증가한 360만 대를 생산하며 사상 최고 수치를 기록했다.
반면 캐나다의 경우 생산 공장이 미국 남부 및 멕시코로 기업을 이전하면서 자동차 생산량은 점차 감소하는 추세다. 브라질은 내수중심의 자동차시장으로, 국내경기침체로 인해 생산량을 축소하고 있다. 생산설비 투자가 지속됨에 따라 멕시코는 향후 5년 내에 세계4위 생산국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0년까지 멕시코의 생산량은 연간 860만대로 북미 전체 생산의 25%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글로벌 기업의 움직임을 보면 기존 미국 남서부 중심의 남부자동차회랑(SAC,South Automotive Corridor)에서 멕시코로 생산기지가 이동되고 있다. 올해 기준 미국의 빅3와 기아, 닛산, 혼다, 도요타, 마즈다, 폭스바겐, 아우디, 등 10여개 완성차 기업이 40개 브랜드 500여개 모델을 23개 공장서 생산하고 있다.

포드는 미국 내 생산을 점차 줄이고 멕시코 생산의 북미 비중을 장기적으로 늘릴 예정이다. 2015년 14%에서 2020년 25%까지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또한 멕시코 신규 공장에서 연간 35만대(기존 생산량의 2배) 양산할 계획이다. 2004년 이후 미국 내에 신규 공장설립 실적이 전무한 반면, 멕시코에 30년 만에 공장 증설을 발표한바 있다.
[제조업메카로 부상한 멕시코]포드 BMW 도요타가 달려가니…5년내 글로벌 4위 생산국 발돋움 원본보기 아이콘

BMW는 멕시코 중부지역에 10억 달러 투자 신규 공장을 건설해 2019년 양산하고 아우디도 신규 공장을 통해 2016년부터 15만대 양산체제에 들어간다. 닛산-다임러는 10억 달러를 투자해 2017년 첫 양산으로 230만 대 생산체제를 갖추게 된다. 도요타도 신규 공장(10억 달러 투자)에서 2019년부터 코롤라 모델을 연간 20만 대 생산키로 했다.
2016년∼2020년 중 북미 출시 예정 신차 모델수 193대 중 멕시코생산 모델은 59대로 지난 5년간(2011-2015년) 신차모델인 31대보다 90% 가량 증가했다. 멕시코는 2016년 1월∼4월 기준 96대의 전기차(멕시코시티에서 전체의 절반 이상 생산)와 1227대의 하이브리드카를 생산했으며 하이브리드카는 주로 누에보 레온, 멕시코 주에서 생산한다.

포드는 소형차 공장 건설(2018년 완공)에서 '모델 E'친환경차라인업(하이브리드, 플러그인하이브리드, 전기차 등) 3종류 생산한다. GM과 폭스바겐(VW) 역시 멕시코내 전기차 공장 설립을 고려 중이다.

이에 따라 현재 6위인 자동차 부품 생산은 2020년까지 세계 5위 규모로 성장할 전망이다. 2015년 총 생산액은 전년대비 6% 증가한 850억 달러로 2020년까지 990억 달러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하지만 멕시코 자동차산업에도 문제는 있다. 국내 자체 기술력이 없어 미국을 비롯한 글로벌 시장을 대상으로 비용절감 중심 조립가공 수출이 주로 이루어지고 있어 부가가치 창출효과가 높지 않다. 또한 기술력 부족으로 부품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공장증설로 인해 일정 수준이상의 인력 확보에 어려움이 있으며 현지 관계자들은 잦은 이직 등 인력관리를 애로사항으로 호소하고 있다.신규 공장 증설로 인해 일부 지방의 경우 기본 인프라 부족도 애로로 꼽힌다.



이경호 기자 gungho@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이슈 PICK

  • 6년 만에 솔로 데뷔…(여자)아이들 우기, 앨범 선주문 50만장 "편파방송으로 명예훼손" 어트랙트, SBS '그알' 제작진 고소 강릉 해안도로에 정체모를 빨간색 외제차…"여기서 사진 찍으라고?"

    #국내이슈

  • 美대학 ‘친팔 시위’ 격화…네타냐후 “반유대주의 폭동” "죽음이 아니라 자유 위한 것"…전신마비 변호사 페루서 첫 안락사 "푸바오 잘 지내요" 영상 또 공개…공식 데뷔 빨라지나

    #해외이슈

  • [포토] 정교한 3D 프린팅의 세계 [포토] '그날의 기억' [이미지 다이어리] 그곳에 목련이 필 줄 알았다.

    #포토PICK

  • 제네시스, 中서 '고성능 G80 EV 콘셉트카' 세계 최초 공개 "쓰임새는 고객이 정한다" 현대차가 제시하는 미래 상용차 미리보니 매끈한 뒤태로 600㎞ 달린다…쿠페형 폴스타4 6월 출시

    #CAR라이프

  • [뉴스속 인물]하이브에 반기 든 '뉴진스의 엄마' 민희진 [뉴스속 용어]뉴스페이스 신호탄, '초소형 군집위성' [뉴스속 용어]日 정치인 '야스쿠니신사' 집단 참배…한·중 항의

    #뉴스속OO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top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