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돈은 돈인데 거의 안쓰는 돈…10원 짜리 동전 발행액 역대 최저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50원, 환수액이 발행액의 13배

10원동전. 아시아경제DB

10원동전. 아시아경제DB

AD
원본보기 아이콘

지난달 한국은행의 10원짜리 동전 발행액이 역대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다른 동전들에 비교해도 발행액보다 환수액이 월등히 많았는데, 신용카드 등 현금 이외의 지급 결제 수단이 보편화와 물가 상승으로 인해 액면가가 낮은 주화 이용이 줄어든 것으로 풀이된다.


17일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지난 5월 한 달간 10원 주화 발행액은 총 1700만원에 그친 것으로 집계됐다. 170만개를 새로 발행한 셈인데, 이는 관련 통계가 남아있는 1992년 1월 이후 가장 작은 액수다.

월간 10원 주화 발행액은 지난 2019년 8월 2억6300만원(2630만개)을 기록한 후 추세적으로 줄어 지난해 11월 처음으로 2000만원(200만개)까지 떨어졌다. 역대 최고액은 2000년 8월의 5억9300만원(5천930만개)이었다.


지난 5월 한 달 동안 한은이 환수, 즉 시중에서 거둬들인 10원짜리 동전은 총 3200만원(320만개)으로 발행액보다 두 배 가까이 많았다. 그만큼 유통되는 10원 주화가 줄었다고 볼 수 있다. 50원 주화의 경우 지난 5월 환수액이 2억3200만원으로, 발행액(1800만원)의 13배에 달했다. 10원 주화보다 더 빠르게 사라진 셈이다.


같은 달 100원 주화 역시 환수액(14억6200만원)이 발행액(1억3700만원)의 11배였고, 500원 주화는 각 24억7500만원, 3억8100만원으로 6배였다. 신용카드 등 현금 이외의 지급 결제 수단이 보편화됐고 물가도 상승해 액면가가 낮은 주화 이용이 줄어드는 상황으로, 이에 따라 발행액도 축소되는 것으로 보인다.

최근 10원 주화는 오히려 과거 추억을 불러일으키는 이미지로 소비되는 경향이 있다. 한은은 앞서 시중에서 판매되는 이른바 '십원빵'이 화폐 도안을 무단 활용했다며 문제를 제기했으나, 지난해 8월 기준을 재정비해 이를 허용했다.





박지수 인턴기자 parkjisu09@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