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포스코이앤씨, 용산정비창을 NEW YBD시대 중심 만든다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업무시설 책임임차 + 역사 연결까지… 조합과 ‘신뢰의 파트너’ 선언

업무시설 책임임차 + 역사 연결까지… 조합과 ‘신뢰의 파트너’ 선언

업무시설 책임임차 + 역사 연결까지… 조합과 ‘신뢰의 파트너’ 선언

AD
원본보기 아이콘

용산정비창 전면1구역의 시공자 선정일이 다가오며 홍보관에서는 입찰 시공사들의 제안조건이 연일 화제다. 이 가운데 포스코이앤씨가 여의도 파크원에서 입증한 '책임임차' 조건을 용산정비창 전면1구역에 소개하며 조합원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


단순 시공 참여를 넘어, 공실 리스크에 대해 시공사가 업무시설의 활성화까지 직접 관여하는 이례적인 제안이다.

포스코이앤씨는 여의도 파크원 개발 당시 책임준공과 더불어 오피스 공간에 대한 책임임차 방식으로 업계의 주목을 받았다. 특히 약 6만5천 평에 달하는 대규모 업무시설을 중심으로 핵심 키테넌트를 유치하고, 기업 맞춤형 시공까지 직접 수행하며 뛰어난 실행력을 입증한 것으로 알려졌다.


단순히 공간을 공급하는 수준을 넘어, 실제 업무지구 수요 기반의 맞춤 시공과 차별화 된 입주 전략으로 당시 침체됐던 여의도 오피스 시장을 반등시킨 주체로 평가받는다.


포스코이앤씨 관계자는 홍보관에서 설명을 통해 "책임임차는 단순한 대물변제와는 다르다. 상권 활성화와 업무시설 유치, 자산 가치 극대화까지 제안하는 조건"라며 "단순 시공을 넘어, 준공 이후까지 용산정비창의 업무시설 활성화를 시키는 목표가 바로 경쟁사와 대비되는 포스코이앤씨의 차별점"이라고 말했다.

반면 경쟁사가 제안한 업무시설 대물변제는 공사비의 10%만 미분양시 공사비를 변제하는 조건으로 알려졌다. 대물변제 규모도 작을 뿐 아니라 업무시설의 활성화, 입주기업 확보 등 조합원의 실질적 자산 가치 상승과는 거리가 멀다는 지적이 나온다.


더불어 포스코이앤씨는 해당 사업지에서 9호선 여의도역과 파크원을 지하로 연결하는 연결통로 공사에 참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포스코이앤씨, 용산정비창을 NEW YBD시대 중심 만든다 원본보기 아이콘

이는 단순 시공에 그치지 않고, 유동인구 유입과 상권 활성화까지 고려한 복합적 실행 사례다. 이러한 '도시를 연결하는 프로젝트의 행정력과 기술력'은 이번 용산정비창 사업에서도 활용될 예정이다.


포스코이앤씨는 용산정비창 전면1구역에 '포스코 빅링크' 전략을 제안했으며, 이 중 '역사 빅링크'는 용산정비창 전면1구역에서 용산역과 신용산역을 하나의 지하 네트워크로 연결해 업무·상업시설의 접근성과 수익성을 동시에 극대화하겠다는 전략이다.


단순 아이디어가 아닌, 실현 가능한 계획으로 평가받는 이유는 입찰 전부터 오랜기간 해당 지하 연결에 대한 사전타당검토를 마쳤으며, 이미 여의도 파크원과 지하철 9호선 여의도역의 지하연결을 포함하여 다수의 사례를 통해 실적과 인허가 행정력을 입증했기 때문에 조합원들의 신뢰도를 얻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이 같은 경험은 서울 도심의 복잡한 인허가 체계 속에서도 실현 가능한, 실질적인 기술력과 노하우가 있음을 보여준다.


업계 관계자는 "HDC현산은 자신들이 '용산의 전문가'임을 내세우고 있지만, 실제로 지하 인프라를 직접 연결한 시공 실적이나 경험은 찾기 어렵다"며 "용산의 심장부를 관통하는 사업에서 실적으로 증명하는 명확한 실행력이 더욱 중요하다"고 말했다.


포스코이앤씨 관계자는 "용산정비창 전면1구역을 단순히 재개발하는 것으로 보지 않는다."며 "앞으로 다가올 용산의 'NEW YBD(Yongsan Business District)'시대에서 용산정비창 전면1구역은 그 중심이 될 것이라고 확신"한다며 말했다.


이어 "포스코이앤씨는 여의도 파크원처럼 공간을 기획하고 도시를 연결하며 건물의 가치와 도시 활성화를 끌어올린 실적이 있는 실행력 있는 회사"라며 "그렇기에 용산정비창 전면1구역에 가장 적합한 파트너로서 조합원들과 신뢰를 구축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정진 기자 peng1@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