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기반 항체 설계 기술과 글로벌 신약개발 역량 결합
인공지능(AI) 신약개발 기업 갤럭스와 신약개발 전문 기업 한올바이오파마가 항암 항체 치료제 개발을 위한 전략적 공동 연구를 시작한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협업은 복잡한 조건을 만족해야 하는 항체 치료제를 정밀한 AI 설계를 통해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AI 기반 기술을 기반으로 기존 방식으로 확보하기 어려운 항체를 설계해, 약효는 극대화하며 부작용은 최소화한 치료제를 공동으로 개발할 계획이다.
갤럭스는 단백질 구조의 물리화학적 원리를 학습한 단백질 설계 AI 플랫폼 '갤럭스디자인'을 활용한다. 이 플랫폼은 기존에 존재하지 않는 완전히 새로운 항체를 처음부터 설계할 수 있으며, 전통적 방법으로는 발굴이 어려웠던 정밀 약물분자를 확보할 수 있는 기술로 알려졌다. 갤럭스디자인은 지난 3월 여섯개 신약 타깃에 대해 신규 항체를 AI로 설계하는 데 성공한 바 있다.
한올바이오파마는 항체 및 단백질 기반 치료제 개발에 특화된 글로벌 바이오 기업이다. 자가면역질환과 안과질환, 암 등 주요 치료 영역에서 축적된 임상 경험과 글로벌 파이프라인을 바탕으로 혁신 신약을 개발하고 있다. 최근에는 자가면역질환 치료제로 개발 중인 '바토클리맙'이 일본에서 갑상선안병증 희귀의약품으로 지정되고, 중증근무력증 임상 3상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확보하는 등 지속적인 성과를 이어가고 있다.
양사는 이번 공동 연구를 통해 차별화된 항체 치료제 도출 및 검증을 단계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석차옥 갤럭스 대표는 "갤럭스의 독자적인 AI 단백질 설계 기술은 기존 업계가 직면하고 있던 신약 개발 과제에 새로운 해법을 제시할 수 있다"며 "이번 협업을 통해 이러한 기술적 강점이 잘 발휘되어, 유의미한 연구 성과로 이어지기를 기대한다"고 했다.
안혜경 한올바이오파마 연구본부장은 "한올은 AI 기술을 기반으로 한 신약개발 혁신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왔으며, 이번 협업은 그 전략적 연장의 일환"이라며 "갤럭스와의 기술적 시너지를 통해 연구개발의 깊이와 속도를 더욱 확장해 나갈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최태원 기자 peaceful1@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BTS 데뷔 전 하이브에 40억 투자 '1080억' 회수한 SV인베…또 대박 날까[상장 VC 대해부]①](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4032109361312445_1710981373.jp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