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재물 부른다며 소문난 韓과자 '불티'…귀국 선물로 싹쓸이하는 中관광객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1분기 서울역·명동 등 상권 매출 59%↑
'롯데마트 제타플렉스 서울역점' 매출 껑충
중국서 재물 상징. '참붕어빵' 귀국선물 인기

방한 외국인 관광객이 늘어나면서 국내 주요 관광 상권에서 한국 과자가 불티나게 팔리고 있다. 외국인 관광객이 한국 여행에서 구매한 과자를 찍어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인증샷을 올리고 있는데, 일부 제품은 '한국여행 필수품'으로 입소문으로 대량 구매로 이어지고 있다.


사진은 기사 중 특정 표현과 관계없음. 게티이미지뱅크

사진은 기사 중 특정 표현과 관계없음. 게티이미지뱅크

AD
원본보기 아이콘

25일 식품 업계에 따르면 오리온 은 올해 1분기 서울역과 명동 등 관광 상권에서의 판매 매출이 전년 대비 59%나 증가했다. 특히 '롯데마트 제타플렉스 서울역점'에서는 '참붕어빵'과 '비쵸비', '알맹이', '예감', '마켓오 브라우니' 등 5개 브랜드 합산 매출이 같은기간 91% 뛰었다.

롯데마트 제타플렉스 서울역점은 서울 도심과 인천국제공항을 잇는 공항철도가 있어 외국인 관광객의 필수 쇼핑 코스로 꼽힌다. 최근 한국을 찾는 외국인 관광객이 늘어나면서 매장 이용객수도 증가했는데, 해외 SNS을 통해 K-스낵에 대한 소개가 잇따르면서 관련 스낵 매출로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 한국관광공사에 따르면 올해 1분기 한국을 찾은 외국인 관광객은 387만명으로, 전년 대비 13.7% 증가했다.

재물 부른다며 소문난 韓과자 '불티'…귀국 선물로 싹쓸이하는 中관광객 원본보기 아이콘

대표적인 스낵은 오리온이 2011년 국내에서 출시한 '참붕어빵'이다. 제품명은 중국어로 물고기를 뜻하는 '魚(위)'와 풍요를 의미하는 '余(위)'의 발음이 동일하고, 중국에선 물고기가 재물을 상징한다고 여겨지면서 최근 중국인 관광객들이 가족과 지인을 위한 귀국 선물로 대량 구매하는 것으로 전해진다.


오리온 관계자는 "외국인들은 추운 겨울 길거리에서 즐겨 먹는 한국의 대표 스트리트푸드 붕어빵이 사계절 즐길 수 있는 양산빵으로 만들어진 것에 대해 흥미로워하고 있다"면서 "징둥닷컴 등 중국 온라인 쇼핑몰 내 한국 제품 직구 카테고리에서도 높은 판매 순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2019년 말부터는 오리온 중국법인에서 '샤오위누어누어(小???)'라는 이름으로 현지 생산을 시작, 2024년부터는 베트남법인에서도 '봉방(B?ng Bang)'으로 출시해 인기리에 판매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참붕어빵은 미국에서도 인기다. 올해 1월 미국 창고형 매장인 코스트코에 입점하면서 1분기 이 제품의 수출액은 지난해 동기 대비 약 10배 성장했다.

국내 식품 업계에서는 방한 외국인 관광객들의 입소문을 통해 K-스낵 인지도가 높아지는 '바이럴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외국인들이 국내서 구매한 과자, 라면 등을 유튜브, 인스타그램 등 SNS에 인증하면서 자연스럽게 브랜드 인지도나 호감도가 커지고 있어서다. 이는 현지 바이어를 통한 수출의 물꼬를 틀 수 있어 해외 시장을 공략할 수 있는 주춧돌인 셈이다.


실제 '초코파이情'의 경우 1990년대 초 중국과 러시아 보따리 상인 사이에서 구매 열풍이 불면서 오리온이 직접 현지에 진출했다. 오리온은 1997년 중국 랑팡 공장을 준공하고 해외 매출이 폭발적으로 늘었다. 또 러시아는 1993년 직접 수출을 시작해 2006년 트베리에 공장을 설립하며 본격적인 시장 공략에 나섰다. 그 결과 중국과 베트남, 러시아, 인도 등 해외 법인에서 현지 생산해 판매하는데, 전 세계에서 연간 40억개 넘게 판매되고 있다. 지난해 초코파이의 글로벌 매출액은 단일 브랜드로만 5800억원을 돌파했다.

재물 부른다며 소문난 韓과자 '불티'…귀국 선물로 싹쓸이하는 中관광객 원본보기 아이콘

이에 오리온은 관광 상권에서만 구매할 수 있는 '비쵸비 코리아에디션', '마켓오 브라우니 제주말차', '마켓오 브라우니 크림치즈' 등을 한정판으로 선보이며 외국인 관광객을 공략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해선 해외 법인과 생산공장을 통한 현지화 전략 이전에 현지 소비자 입맛을 사로잡을 수 있는 차별화된 제품력과 브랜드 인지도가 필수"라며 "SNS의 발달과 해외 직구 활성화 등 소비자들의 구매에 있어 국가 간 장벽이 낮아진 만큼 방한 외국인 관광객의 입소문을 통해 K-푸드가 전 세계로 뻗어나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한예주 기자 dpwngks@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