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11·5 대선 승리 후 미국에서 앞으로 가계 재정 상태가 개선될 것으로 보는 낙관론이 약 5년래 최고치를 기록했다.
9일(현지시간) 뉴욕 연방준비은행(연은)이 공개한 소비자 전망 설문조사에 따르면 1년 후 가계 재정상황이 나아질 것으로 보는 가계의 비율은 37.6%로 집계됐다. 이는 직전월 조사 대비 약 8%포인트 높아진 수치다.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발발 직전인 2020년 2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기도 하다. 반면 재정상황이 악화할 것으로 예상한 가계는 20.7%로 2021년 5월 이후 최저치였다.
이러한 낙관론은 트럼프 당선인의 대선 승리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트럼프 당선인과 공화당은 성장 촉진을 위해 대대적인 규제 완화, 감세 등을 약속했다. 경제매체 CNBC는 "낙관주의가 높아지면서 가계 재정에 대한 낙관론이 수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한 것"이라고 전했다. 이번 조사는 미국 내 1300가구를 대상으로 실시됐다.
다만 이러한 낙관론에도 불구하고 소비자들의 인플레이션 전망에는 여전히 우려가 확인된다.
미국 소비자들이 앞으로 1년간 물가가 얼마나 오를지 예상하는 기대인플레이션율은 3%로 직전월보다 0.1%포인트 높아졌다. 3년간 기대인플레이션율, 5년간 기대인플레이션율 역시 소폭 올라 각각 2.6%, 2.9%로 집계됐다.
연방준비제도(Fed)의 물가안정 목표치인 2% 달성이 어렵다고 본 것이다. 현지에서는 '미국우선주의'를 앞세운 트럼프발 관세가 오히려 미국 내 물가를 끌어올릴 것이라는 우려도 잇따르고 있다.
조슬기나 기자 seul@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르포]6년 만에 마트 열었다…'우르르' 오픈런 롯... 마스크영역<ⓒ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