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충남도에 따르면 충남닥터헬기는 지난 1월 출범 이래 이달 7일(100일)까지의 구조 활동으로 중증외상 및 심혈관질환 등 응급환자 48명을 이송하고 이들 중 39명에게 새 생명을 전한 것으로 집계된다.
이처럼 올해 1월~5월 사이 100일간 충남닥터헬기가 이송한 환자는 외상환자 29명(60.4%), 심·뇌혈관 질환 13명(27.1%), 기타 6명(12.5%) 등으로 파악된다.
또 환자별 유형에서 외상환자는 두부 외상 10명·외과적 외상 7명·근·골격계 외상 6명·흉부 외상 5명·기타 1명, 질병 환자는 뇌혈관 질환 8명·심장질환 5명·폐질환 2명·기타 2명 등으로 분류된다.
충남닥터헬기가 제 역할을 다할 수 있었던 데는 단축된 출동시간이 주효한 역할한 것으로 분석된다.
실제 충남닥터헬기가 신고를 접수한 뒤 이륙까지 걸린 시간은 평균 7분으로 도입초기(13분)보다 최근 4분가량 단축됐다.
또 출동 사례별 현황에서 천안 단국대학교병원(충남닥터헬기 격납고)~환자 인계점(헬기 이?착륙장) 사이의 평균 출동 시간은 19분(최소 13·최대 30분), 인계점~단국대병원 이동 시간은 평균 17분(최소 11·최대 24분)을 기록해 출동보다 도착시간이 더 짧은 것으로 확인된다.
이밖에 출동 지역(병원)별로는 서산의료원이 24명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고 홍성의료원(9명)과 당진종합병원(5명)이 뒤를 이었다. 환자 연령대는 70대 11명, 50대 9명, 60대 8명, 40대 7명 등을 보였다.
앞서 충남은 전국 다섯 번째로 닥터헬기를 도입, 권역응급의료센터 및 외상센터 기능과 착륙·계류장이 있는 천안 단국대병원에 배치해 운영하고 있다.
도 관계자는 “충남닥터헬기의 도움을 받은 환자 상당수는 기존 응급의료시스템만을 이용했을 때 생명을 보장받기 어려운 상황이었다”며 “이를 근거로 충남닥터헬기의 응급환자 이송능력이 앞으로도 도민들의 생명을 지키는 데 큰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는 기대를 하게 된다”고 말했다.
@include $docRoot.'/uhtml/article_relate.php';?>
충남=정일웅 기자 jiw3061@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일웅 기자 jiw3061@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