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국제백화점협회, 10일 '더현대 서울'서 CEO 콘퍼런스 연다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미국·프랑스 등 9개국 백화점 CEO 참여
비회원국 韓 찾아…'더현대 서울' 성공에 관심

현대백화점 은 오는 10일 국제백화점협회(IADS)와 공동으로 더현대 서울에서 국제백화점협회(IADS) 정례 최고경영자(CEO) 콘퍼런스를 개최한다고 9일 밝혔다. 국제백화점협회 CEO 컨퍼런스가 한국에서 열리는 것은 1928년 협회 설립 이래 처음이다.

현대백화점 더현대서울 외부 전경. [사진제공=현대백화점]

현대백화점 더현대서울 외부 전경. [사진제공=현대백화점]

AD
원본보기 아이콘

이번 컨퍼런스에는 ▲미국 블루밍데일즈(Bloomingdale's) ▲프랑스 갤러리 라파예트(Galeries Lafayette) ▲독일 브로이닝어(Breuninger) ▲스위스 마노르(Manor) ▲덴마크 마가신 뒤 노르(Magasin du Nord) ▲태국 더 몰(The Mall) ▲홍콩 소고(SOGO) ▲우크라이나 츠움 키이우(TSUM Kyiv) ▲중국 SKP 등 IADS 회원사 9개국의 백화점 CEO·경영진들이 참여한다.


IADS는 글로벌 백화점 업계 리더들이 유통 산업 분석과 백화점 포맷 연구를 위해 설립한 협회다. 전 세계 16개국 16개 백화점을 회원사로 두고 있다. 한국은 아직 회원사가 없다. 각국을 대표하는 단 한 개의 기업만이 회원 자격을 얻을 수 있고, 기존 회원사들의 만장일치를 얻어야만 신규 가입이 가능할 만큼 신뢰와 권위를 중시하는 조직이다. CEO 콘퍼런스도 철저히 비공개로 진행되는데, 회원사 간 유통 트렌드 공유·협력 방안 논의가 주목적이라 회원국에서만 개최하는 게 원칙이다.

올해 IADS는 내부 원칙을 깨고 비회원국인 한국의 현대백화점을 찾았다. 실제로 IADS 회원사 다수가 현대백화점의 리테일 차별화 전략에 주목하며 교류를 요청해 이번 방한이 결정됐다.


캄심 라우(Kamshim Lau) IADS 회장은 "현대백화점은 리테일의 미래를 새롭게 정의해 나가는 진정한 선도자"라며 "이번 CEO 콘퍼런스 공동 개최는 백화점 산업의 혁신과 우수성, 글로벌 차원의 소통에 대한 양측의 의지를 보여주는 사례"라고 설명했다. 이어 "현대백화점의 비전 있는 리더십과 아시아 리테일 시장의 변화 흐름을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콘퍼런스에 앞서 9개국 백화점 CEO와 경영진들은 더현대 서울 주요 콘텐츠를 먼저 둘러본다. 참석자들의 요청에 따라 12m 높이의 인공폭포 '워터폴가든'과 1000평 규모의 초대형 녹색 공원 '사운즈포레스트', MZ 전문관 '크리에이티브 그라운드' 등 현대백화점만의 장소 위주로 투어를 진행한다.

콘퍼런스는 정지영 현대백화점 사장과 캄심 라우 IADS 회장이 공동 좌장을 맡는다. 이 자리에서는 더현대 서울 성공 노하우를 비롯해, 더현대 부산·더현대 광주로 확장될 '더현대 2.0'의 방향성이 공유된다. 또한 K브랜드 해외 수출 플랫폼 '더현대 글로벌'과 백화점·아울렛·미술관을 결합한 리테일 모델 '커넥트현대' 등 사업모델 다각화 전략도 소개된다. 인공지능(AI) 카피라이터 '루이스', 내부 직원을 위한 AI 멘토 시스템을 비롯해 현대백화점이 선제적으로 추진 중인 AX(인공지능 전환) 사례도 주요 의제로 다뤄질 예정이다.


정지영 현대백화점 사장은 "백화점은 단순한 쇼핑 공간을 넘어 고객에게 새로운 경험과 가치를 제공하는 플랫폼으로 진화하고 있다"며 "현대백화점이 제시하는 공간·테크·콘텐츠 중심의 리테일 혁신이 이번 CEO 콘퍼런스를 통해 더욱 확장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박재현 기자 now@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