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클릭 e종목]"SPC삼립, 안전사고에 투심회복 요원…투자의견·목표가↓"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투자의견 '매수'→'중립 하향 조정
목표주가 기존 대비 20.5% 하향 조정

IBK투자증권은 23일 SPC삼립 에 대해 반복되는 안전사고로 투자심리 회복이 요원하다고 보고 투자의견을 기존 '매수'에서 '중립(Trading Buy)'으로, 목표주가는 기존 7만4000원에서 5만9000원으로 각각 하향 조정했다.


김태현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실적 부진 외에도 최근 발생한 근로자 사망사고와 이에 따른 생산 차질은 당분간 주가와 실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반복되는 중대재해로 인한 투자자 신뢰 회복에는 상당한 시간이 필요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SPC삼립은 올해 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8148억원, 영업이익 161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9%, 7.2% 감소한 수치다. 김 연구원은 "1분기 실적은 컨센서스를 하회했다"면서 "광고선전비, 외주용역비 등 판관비 부담 확대로 인해 베이커리, 푸드, 유통 등 주요 부문의 수익성이 둔화됐다"고 분석했다.


안전사고가 반복되며 주가 및 투심 위축으로 이어졌다는 분석이다. 김 연구원은 "지난 5년간 SPC그룹 내에서 부상 및 사망사고가 반복적으로 발생했으며 그때마다 기업 이미지 훼손과 투자심리 위축이 동반됐다"면서 "특히 2022년과 2023년의 사망사고 발생 이후 3개월 주가 수익률은 각각 -10%, -7.8%를 기록했고 6개월 수익률도 -6.0%, -13.1%로 회복이 쉽지 않은 모습을 보였다. 또한 안전사고 발생 시 기관 및 외국인의 순매도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났다"고 말했다.


지속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리스크는 기업가치에 부정적일 수밖에 없다. 김 연구원은 "실적과 무관하게 ESG 리스크가 기업가치의 디스카운트 요인으로 고착화되고 있는 점은 중장기적으로 우려스럽다"면서 "최근 국내 기관투자자들은 단기 실적뿐 아니라 지속가능성, 윤리경영 등 비재무적 요소를 중시하는 경향이 강화되고 있고 글로벌 자산운용사들도 ESG 평가를 주요 투자 기준으로 삼고 있어 ESG 리스크가 높은 기업은 투자 배제 또는 비중 축소 대상으로 분류되는 사례가 점점 늘고 있다"고 설명했다.

[클릭 e종목]"SPC삼립, 안전사고에 투심회복 요원…투자의견·목표가↓"
AD
원본보기 아이콘



송화정 기자 pancake@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