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테마주 과열 현상이 나타나고 있어 금융감독원과 한국거래소가 공동 대응에 나섰다.
14일 금융감독원과 한국거래소는 정치 테마주에 대한 주가 변동성이 지속적으로 확대됨에 따라 전날 실무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금융당국에 따르면 정치 테마주(60종목) 중 3분의 2 이상이 고점 대비 주가가 30% 이상 하락했다. 특히 대부분 개인투자자가 손실을 본것으로 나타났다. 정치 테마주에서 개인투자자의 비중은 86.9%에 달한다. 최근 1개월 기준 개인투자자의 매매차익을 분석한 결과 42개 종목에서 손실이 발생했다.
금감원은 "특정 정치인에 대한 테마가 소멸될 경우 순식간에 주가가 '반토막' 나는 상황이 실제로 발생한다"며 "추종매매시 투자자 손실이 매우 우려되는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정치 테마주는 주가 예측이 어렵고 변동성이 높아 이에 편승한 불공정거래 및 투자자의 피해가 우려되고 있다. 이에 따라 금융감독원은 한국거래소와 공조하여 모니터링 및 조사 등 공동대응을 강화하기로 했다.
먼저 금감원과 거래소는 조사 관계기관 간 협업체계 구축해 정보공유를 확대하고 시장감시·조사역량 집중하기로 했다. 또 정치테마주에 대한 모니터링도 강화한다. SNS 등을 통해 정치인 관련 허위 풍문을 생성·유포해 추종매매를 부추기는 행위를 비롯해 매매유인성 통정매매, 상한가 굳히기, 허수성주문, 고가매수 및 연속적인 단주 주문 등 이상매매 주문 행위가 대상이다.
거래소는 사전적 예방조치 및 시장감시를 강화할 예정이다. 정치테마주에 대한 예방조치 요구, 시장경보종목 지정, 조회공시 요구 등을 통해 과도한 주가상승 방지한다. 이와 함께 정치테마주 대상 시장교란행위 기획 감시 실시 및 불공정거래 의심 계좌에 대해 최우선으로 심리한다.
금감원은 정치테마 관련 불공정거래 혐의가 발견되는 경우 즉시 조사에 착수할 계획이다. 또 추가적인 불법행위를 차단하고 풍문 생성·배포 행위, 이상주문 등 시장교란행위에 대해서도 엄정 조치할 예정이다.
금감원과 거래소는 "정치 테마주는 풍문과 투기적 수요에 따라 그 가치가 실제보다 부풀려진 경우가 많다"며 "주가 급등락을 예측하여 매매 시기를 포착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해 개인투자자의 매매손실이 크게 발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유현석 기자 guspower@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