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美·中 긴장 고조에 공급망 '탈중국' 가속…반도체 두드러져"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코로나19 때 이전 시작…·트럼프 복귀로 압박 증가

미국과 중국 간 긴장이 고조되면서 기술기업의 탈중국화 움직임이 빨리지고 있다. 이 같은 엑소더스(탈출)는 미중 통상전쟁이 격화하면서 심화될 것으로 관측된다.


로이터연합뉴스

로이터연합뉴스

AD
원본보기 아이콘

최근 수년간 다국적 기업들은 중국 공급업체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중국 기반 공급망을 다른 국가의 공급업체로 보완하는 이른바 '차이나 플러스 원(China Plus 1)' 전략을 추진했다. 그러나 이제는 아예 공장을 중국 외 지역으로 이전하는 '중국 말고 어디든(Anything But China·ABC)'이라는 전략이 새로운 원칙이 되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7일(현지시간) 전했다.

코로나19를 거치면서 중국의 봉쇄 조치로 공장이 문을 닫으면서 서구 기업들은 생산 기지를 중국에서 베트남이나 인도로 대거 이전하기 시작했다. 이후 첨단 기술 패권을 둘러싼 미·중 간 경쟁은 이런 흐름을 더 강화했고, 특히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백악관에 복귀하면서 중국에서 벗어나 공급망을 다변화하라는 압박이 증가하고 있다고 WSJ는 분석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취임 직후부터 대중국 10% 추가 관세 부과 조치를 내렸고, 중국이 보복 관세로 맞서면서 양국 간 무역 갈등이 고조되고 있는 상태다.


특히 'ABC' 추세는 미·중 간 기술 경쟁의 핵심인 반도체 관련 제품에서 두드러지고 있다. 지난 2년간 미국은 중국이 최첨단 칩과 장비에 접근하는 것을 금지했고, 이에 중국은 자체 칩 개발을 추진해 왔다. 중국은 세계 서버 생산의 가장 큰 허브 중 하나였지만, 미국이 2022년 10월 인공지능(AI) 칩의 중국 수출을 제한한 이후 AI 서버는 멕시코와 말레이시아 등에서 점점 더 많이 조립되고 있다.


반도체 장비 제조업체와 공급업체들도 중국 의존도를 줄이는 움직임에 가세하고 있다.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와 램 리서치는 지난해 미 정부의 압력으로 중국 기업을 공급망에서 제외했고, 전력 시스템 및 전기 부품을 만드는 어드밴스드 에너지 인더스트리스는 오는 7월까지 중국의 마지막 공장을 폐쇄할 예정이다.

기업들의 중국 '엑소더스'는 스마트폰에서 노트북에 이르기까지 전반에 걸쳐 일어나고 있다. 중국 주재 미국상공회의소의 연례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 360명 중 30%는 생산 기지 이전을 고려하거나 이미 시작했다고 답했고, 기술 및 연구개발( R&D) 기업의 약 4분의 1은 공급망을 이전하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부품 분야도 예외가 아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앞서 기업들이 제품 조립만 중국 외 지역으로 이전했던 것과 달리, 현재는 센서와 인쇄회로기판(PCB), 전력 전자장치와 같은 부품을 만드는 공장도 이전하고 있다.


이 같은 탈중국 움직임에 동남아시아는 반사이익을 누리고 있다. 동남아시아에 대한 외국인 직접 투자는 2018년 1550억달러에서 2023년 2300억달러로 증가했다. 칩 제조업체 인텔, 인피니온, 마이크론은 말레이시아와 싱가포르에 수십억 달러를 투자했고 노트북 제조업체 HP는 지난 3년간 조립 기지에 태국을 추가했다. 말레이시아의 경우 지난해 반도체, 컴퓨터 및 기타 전자 제품 수출액이 사상 최대인 1370억달러를 기록하기도 했다. 이 여파로 2023년 기준 중국은 전 세계 대부분의 노트북을 생산했지만, 올해는 비중이 80%로 줄어들고 베트남과 태국 비중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많은 중국 기업도 서구 고객들의 요청에 호응하기 위해 해외로 진출하는 추세다. 중국의 데이터 센터용 광 트랜시버 제조업체인 신역성통신기술은 해외 고객에 대한 공급을 늘리고 미·중 긴장의 여파를 피하기 위해 태국 공장을 확장했다. 또 노트북, 태양광 패널 및 산업 기계용 납땜 재료를 생산하는 바이탈신소재는 동남아시아와 멕시코에 자회사를 설립했다.


중국 의존도를 낮춰야 하는 기업 입장에선 비용 부담이 커질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시장조사기관 IDC 분석가 마리오 모랄레스는 "장기적으로 새로운 생산 라인을 만드는 것은 더 비싸고 위험해질 수 있다"며 "공급망을 전환하는 회사는 더 큰 도전을 맞이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승형 기자 trust@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