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내년 美 달러 랠리 꺾인다"…월가서 弱달러 전망 잇달아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모건스탠리, JP모건 등 달러 약세 전망
실질금리 하락·위험 선호 심리 부활 영향
트럼플레이션·美 통화완화 속도 조절 등 변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 이후 급등한 달러화 가치가 내년 중반 정점을 찍고 하락할 것이란 전망이 제기됐다. 실질금리 하락과 유럽 등 주요국 경제의 회복 가능성 등이 약달러 전망의 배경으로 꼽혔다. 다만 내년에도 미국의 강력한 경제가 지속되고, 연방준비제도(Fed)가 예고한 대로 금리인하 속도를 늦출 경우 강달러 흐름이 이어질 가능성도 상당하다.


"내년 美 달러 랠리 꺾인다"…월가서 弱달러 전망 잇달아
AD
원본보기 아이콘

15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모건 스탠리, JP모건 체이스, 소시에테 제네랄 등 월가 주요 금융회사들이 내년 달러 약세를 점치고 있다.

모건 스탠리는 1년 뒤인 2025년 12월 달러 가치가 현 수준 아래로 내려갈 것으로 예상했다. JP모건 역시 달러가 이르면 내년 중반 정점을 찍고 하락할 것으로 봤다. 소시에테 제네랄은 달러 가치가 내년 말 6%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 같은 예상은 최근 달러 강세 흐름과는 엇갈린다. 블룸버그 달러 현물 지수는 올 들어 지금까지 6.3% 올랐는데, 이 가운데 지난달 5일 치러진 미 대선 이후 상승분이 상당한 비중을 차지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 당선인의 관세 인상, 불법이민 금지 정책 등이 인플레이션을 밀어 올리고 Fed의 통화완화에 제동을 걸 수 있다는 분석이 고금리 장기화 전망과 달러 강세로 이어졌다.


모건 스탠리는 이 같은 달러화 랠리가 내년 꺾일 것으로 예상하면서 그 이유로 명목금리에서 물가상승률을 뺀 실질금리 하락과 위험 선호 심리 부활을 들었다. 내년 미 국채 수익률이 내리고 하락폭이 다른 국가 대비 클 것으로 전망하면서, 그간 강달러를 견인해 온 주요국과의 국채 금리 격차 역시 줄어들 것으로 봤다.

시티그룹은 트럼프 당선인의 무역 정책이 실제로 이행되는 과정에서 달러화 강세론자의 실망감이 커질 수 있다고 예상했다. 시장 일각에선 트럼프 당선인이 관세를 협상 지렛대로 쓰거나, 교역 상대국이 보복관세로 맞대응하지 않을 경우 무역전쟁으로 이어지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


포인트72 에셋 매니지먼트의 전략가 겸 이코노미스트인 소피아 드로소스는 "달러화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이 이미 가격에 많이 반영됐다"고 진단했다. 이어 "유럽 등 미국 이외의 지역에서 성장세가 회복될 경우 달러화가 다른 통화 대비 약세를 나타낼 수 있다"며 "내년 글로벌 경제가 강력해질 수 있는 긍정적인 요인들이 있다"고 짚었다.


JP모건은 "Fed가 상당히 완화적인 통화정책을 시행하고 달러가 상대적인 금리·성장 우위를 잃게 되면 달러화 약세폭이 커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다만 미국 경제가 강세를 지속하고 Fed가 앞서 예고한 대로 내년 통화완화 속도를 늦출 경우 '킹달러(달러 강세)' 행진이 계속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트럼플레이션(트럼프의 정책이 초래하는 물가 상승)' 발생 여부도 달러화 가치의 등락을 가를 주요 변수로 꼽힌다.





뉴욕(미국)=권해영 특파원 roguehy@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