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세계경제전망 보고서
세계 경제성장률 3.0% 전망
국책연구기관인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이 내년 세계 경제성장률을 3.0%로 내다봤다. 종전 전망치 대비 0.2%포인트 낮춘 것으로 올해 대비로도 0.1%포인트 하락하며 소폭 둔화할 것으로 봤다. 강화되는 트럼피즘(Trumpism·트럼프주의)으로 성장 격차가 심화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자국우선주의 기조·중국 경제성장 충격·통화정책 전환에 따른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등이 성장 하방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관측이다.
KIEP는 14일 '2025년 세계경제전망' 보고서에서 "미국의 상대적 성장 우위가 지속되면서 주요 선진국 간 성장세가 차별화될 것"이라며 "내년 세계 경제는 올해보다 0.1%포인트 낮은 3.0%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KIEP가 내놓은 내년 세계경제 성장률 전망치는 종전보다 0.2%포인트 낮춘 것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3.2%)나 국제통화기금(IMF·3.2%)보다도 낮은 수준이다. KIEP의 전망대로라면 세계경제는 지난해와 올해 3.1%로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다가 내년에 3.0%로 둔화한다.
美 견조한 성장세…유로존·일본 등 상대적으로 부진한 선진국들
KIEP의 전망치 하향은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이 미치는 세계 경제·통상 관련 불확실성 등에 주목한 결과다. 미국은 민간소비의 꾸준한 성장 등이 견조한 성장세를 이끌 것으로 보고 내년 성장률 전망치를 2.1%로 종전 대비 0.4%포인트 올렸다. 유로존 지역은 독일을 제외하고 양적 성장을 지속하고 있으나 고금리 지속으로 투자 부진이 이어지면서 성장세가 1.3%로 미약할 것으로 전망됐다. 일본의 경우 수출 감소와 기업실적 둔화로 1% 성장세에 그칠 것으로 예상됐다.
트럼프 리스크 부상에도 중국 경제는 급랭으로 돌아서진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KIEP는 "내달 중앙경제공작회의에서 중국 정부가 대대적인 소비 확대와 재정정책 강화 등 적극적이고 실물경제에 실효성 높은 경제부양책을 제시할 경우 4% 초반대의 경제성장률을 기록할 수 있을 것"이라며 내년 경제 성장률 전망치로 4.1%를 제시했다.
인도는 민간 투자 확대와 소비 민간 소비 증가로 6.8%의 견조한 성장세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KIEP는 "트럼프 정부의 보호무역주의나 반(反)이민 정책은 수출 및 IT 분야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으나 이는 공급망 재편과 유가 하락 등의 이점에 의해 부분적으로 상쇄될 것"이라며 이같이 예상했다.
고환율 기조 이어져..."추가 금리인하 단행 시 강달러 완화"
미국 대선을 전후해 트럼프 재집권 우려가 강달러 압력을 크게 확대하고 있지만, 올해 4분기를 고점으로 내년 강달러 기조가 차츰 완화될 것으로 내다봤다. KIEP는 "트럼프 2기 정부의 정책 추진에 대한 기대로 당분간 강달러 기조를 보이다가, 경기둔화 우려에 따른 정책 수위 조절, 추가 금리인하 단행 시 강달러가 완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미국 신행정부의 관세 인상, 불법 이민 차단, 감세 추진은 미국 내 인플레이션 재발과 국채금리 상승 기대감을 높이고 이는 강달러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지만, 기존의 제약적 금리 수준과 노동시장의 둔화 요인에 미국 신정부 정책에 따른 국채금리 상승까지 가세해 경기둔화 우려가 고조될 경우 정책의 수위를 조절할 것으로 예상된다는 것이다.
KIEP는 원달러 환율은 달러화 흐름을 반영해 당분간 고환율을 보이다가 미국의 정책 수위 조절과 금리인하 기대감 고조 시 하락세로 전환될 것으로 내다봤다. 앞서 주요 투자은행들은 원달러 환율이 올 4분기 1340원, 내년 1분기와 2분기에 1310원, 1300원으로 각각 하락하는 흐름을 보일 것으로 전망한 바 있다.
유가 65~85달러 구간에 머무를 것
유가는 중동 분쟁 요인을 제외하면 65~85달러 구간에 머무를 것으로 내다봤다. KIEP는 "내년 유가 전망에서 중동 분쟁의 향방이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것"이라면서 "호르무즈 해협을 통한 운송에 심각한 차질이 빚어지는 등 극단적인 상황이 발생할 경우 유가는 최대 120달러 돌파도 가능하다"고 봤다.
이어 "중동 불확실성 요인를 제외하면 장기적으로 수요 성장 둔화와 비OPEC 주요 산유국 간 협의체 OPEC+(플러스) 생산 증대에 따라 65~85달러 구간에 머무르면서 완만한 하향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내년 원유수요 성장률을 올해와 마찬가지로 1% 미만으로 예측하고 있고 공급은 내년 2.04%의 높은 성장률을 보이면서 일일 120만배럴의 초과 공급이 발생할 것으로 예측한 바 있다.
세종=조유진 기자 tint@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비상계엄 당시 이상하게 '무능'했던 군과 경찰…대... 마스크영역<ⓒ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