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3분기 서울 아파트 전·월세 계약에서 전세 계약 비중이 60%를 넘어섰다. 또 임대 기간 종료 후 기존 집주인과 다시 계약하는 갱신 계약은 늘었으나, 계약갱신청구권(갱신권) 사용 비중은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시스템에 신고된 서울 아파트 전·월세 계약을 분석한 결과, 올해 3분기 전세 계약 비중은 62.5%로 집계됐다.
서울 아파트 전세 거래 비중은 지난해 4분기 59.4%에서 올해 1분기 58.2%로 줄었다가 2분기 59.7%로 늘어난 뒤 3분기 들어 60%를 넘어섰다. 서울 아파트값이 뛰면서 전세 수요가 늘어난 데다 시중은행의 대출 금리가 전월세 전환율보다 낮아져 대출받아 전세를 얻는 수요가 증가한 영향으로 보인다.
이중 갱신 계약(재계약) 비중은 전체 계약의 32.8%를 차지했다. 지난해 4분기 28.2%였던 갱신 계약 비중은 올해 1분기 31.1%에서 2분기에 30.8%로 다소 줄었으나 3분기 들어 32.8%로 확대됐다. 전셋값이 오르면서 신규 계약보다는 갱신 계약을 하는 임차인이 늘어난 것으로 풀이된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올해 7월까지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지난해 말 대비 3.10% 상승했다. 2022년 말부터 지난해 7월까지 전셋값이 10%가량(-9.92%) 하락한 것과 비교된다.
이에 비해 갱신권 사용 비중은 지난해 4분기 32.1%에서 올해 30% 밑으로 떨어졌다. 올해 1분기 29.5%에서 2분기와 3분기 각각 28.6%, 28.7%를 기록 중이다. 재계약을 하면서 갱신권을 사용하는 임차인 비중이 감소한 것이다.
갱신권은 동일 임대인과의 계약 기간 내에 1회만 사용할 수 있고, 2년 추가 거주하면서 임대료 인상률은 5%로 제한된다.
노경조 기자 felizkj@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집들이 선물 30만원 보냈더니…친구가 배송비도 ... 마스크영역<ⓒ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