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마트 입점업체들은 주말 매출이 전체의 75%를 차지한다. 주말에 월 3회 쉬라고 하는 것은 대형마트서 장사를 하지 말란 얘기나 다름없다."
대선을 앞둔 정치권이 서민들의 골목상권을 보호하겠다며 대형유통업체를 압박하는 과정에서 정작 마트만 바라보고 생계를 잇는 '또다른 서민' 500만명을 전혀 고려하지 않으면서 또 다른 갈등만 초래한 것이다. 자칫하면 서민간 갈등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유통법 개정안 통과시 농어민 피해는 연간 1조7000억원, 중소협력업체는 3조1000억원, 입점소상인은 6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대책위원회는 예상하고 있다. 대형유통업체들은 어느정도 견딜 수 있다고 쳐도, 소규모 영세납품업체들은 자금압박과 적자를 못이기면 연쇄 도산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벌써부터 마트협력업체 사이에서는 인력 구조조정 얘기까지 나돌고 있는 상황이다.
대형마트를 억누르면 재래시장이 활기를 찾을 것이라는 이론적인 단순함에서 벗어나 보다 진정성 있는 고민이 필요한 때다. 대형마트 규제보다 훨씬 더 시급한 문제는 재래시장의 현대화이다. 대형마트가 문을 닫는 날에 재래시장을 이용하겠다는 소비자의 비율도 네 명 중 한 명에 불과하다는 설문조사가 이를 뒷받침한다.
서민은 편 갈라 길들여야하는 아무개가 아니라 하나로 통합해 함께 걸어가야 할 동반자다.
오주연 기자 moon170@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