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개포지구 재건축추진위원회 등에 따르면 개포주공3단지는 소형 아파트 비중을 기존 22%에서 약 30%로 올렸다. 서울시가 당초 요구한 기존 소형 주택수의 50%에는 못 미치지만 박 시장이 최근 방문한 자리에서 타협 의사를 내비친 만큼 통과 가능성이 없진 않다.
문제는 주공3단지다. 서울시와 주민간의 타협점으로 소형비율을 30%대로 올렸지만 주민들의 의사를 제대로 반영하지 않고 추진위가 단독으로 제출한 계획안인 이유에서다.
이에 앞서 주공3단지 재건축추진위원회는 소형평형 비율을 당초 20%에서 35%까지 높여 서울시와 합의하자는 취지의 설문조사를 실시한 바 있다. 하지만 당시 설문에 응한 250명 중 200여명이 반대의사를 밝히는 등 주민들은 의사를 분명히 보여왔다. 서울시의 요구대로라면 중대형을 원하던 일부 조합원은 소형평형에 머물거나 더 작은 평형으로 옮겨가야하는 등 사업성이 크게 떨어지기 때문이었다.
3단지 추진위 관계자는 “아직도 대부분의 주민들이 소형비율 확대에 대해 강하게 거부하고 있는데다 이번 조정안이 통과되더라도 이 계획안으로 주민들의 동의를 구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추진위에 따르면 서울시는 오는 30일 도시계획위원회 소위원회를 통해 강남구청이 제출한 이번 계획안에 대한 심의를 진행한다. 이후 안건이 통과되면 다음달 2일이나 16일 도시계획위원회를 열어 최종적으로 정비계획안을 처리할 방침이다.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