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6차 관세 협상에도…美 "훌륭한 회담" 日 "예단은 삼가"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미국과 일본 양국이 13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6차 장관급 관세 협상을 벌였다. 다음 주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가 열리는 캐나다에서 양자 정상 회담을 앞두고 지속적인 협상을 이어가는 가운데 양국의 미묘한 입장차이가 감지된다.


NHK 등에 따르면 일본 측 협상 대표인 아카자와 료세이 경제재생상은 이날 미국 측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과 각각 만나 협상을 했다.

아카자와 경제재생상은 협상 후 취재진에 "G7 정상회의를 앞두고 있어 중요한 타이밍"이라며 "서로에게 이익이 되는 합의 실현을 위해 깊이 있는 얘기를 나누며 합의 가능성을 탐색했다"고 말했다. 그는 양국 정상이 다음주 G7 정상회의를 계기로 갖기로 한 양자 정상회담에서 관세에 합의할 가능성에 대해서는 "예단은 삼가겠다"고 명확한 답변을 피했다.


러트닉 상무장관은 협상장을 빠져나오면서 마주친 취재진에 "훌륭한 회담이었다"고만 말했다.


미일 장관급 관세 회담 이후 실무자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미일 장관급 관세 회담 이후 실무자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AD
원본보기 아이콘

앞서 트럼프 대통령과 이시바 총리는 13일(이하 일본시간) 일본측 요청으로 전화 통화를 하고 G7 정상회의 때 양자 회담을 갖기로 했다.

이시바 총리는 통화후 취재진에 "모든 관세 조치의 철폐를 요구한다는 생각을 거듭해 전달했다"며 "철폐 요구 입장에는 변함이 없다"고 전했다.


양국 정부는 정상 간에 관세 협상을 둘러싼 큰 틀의 합의를 본다는 원칙을 세워놓고 두 정상이 참석하는 G7 정상회의를 앞두고 최근 장관급 관세 협상에 속도를 내왔다. 미일 장관급 관세협상은 4주째 매주 열렸으나, 아직 타결까지는 이르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일본 정부는 그동안 미국을 상대로 관세조치의 재검토를 요구하면서 미국산 농산물 수입 확대, 자동차 수입 제도 개선, 조선·경제 안보 분야 협력 방안 등을 협상 카드로 제시했다.


그러나 미국은 협상 초기부터 상호관세에서 일률적으로 부과한 10%에 더해 국가별로 차등해 추가 적용하는 관세(일본은 14%)만 협의가 가능하고, 자동차·철강·알루미늄 관세 등 품목별 관세 조정에 대해서는 난색을 보여온 것으로 알려졌다.





우수연 기자 yesim@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