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美 상원의원 쓰러뜨리고 수갑 채운 장관측…비난 폭주에 "무례한 정치연극"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민주당 소속 연방 상원의원, 장관에 질문하려다
'입틀막' 당해…바닥에 쓰러져 수갑 채워지기도
장관 측 "신분 안 밝혀" 주장…영상에는 담겨

미국 로스앤젤레스(LA) 시위로 정국이 혼란한 가운데, 국토안보부 장관에게 질문하려던 연방 상원의원이 강제로 끌려 나간 뒤 수갑까지 채워져 논란이 일고 있다. 12일(현지시간) AP통신은 "알렉스 파디야(민주·캘리포니아) 연방 상원의원이 이날 오전 열린 크리스티 놈 국토안보부 장관의 LA 시위 관련 기자회견장에서 강제로 쫓겨났다"고 보도했다.


알렉스 파디야(민주·캘리포니아) 연방 상원의원이 12일(현지시간) 오전 열린 크리스티 놈 국토안보부 장관의 LA 시위 관련 기자회견장에서 쫓겨나고 있다. AFP연합뉴스

알렉스 파디야(민주·캘리포니아) 연방 상원의원이 12일(현지시간) 오전 열린 크리스티 놈 국토안보부 장관의 LA 시위 관련 기자회견장에서 쫓겨나고 있다. AFP연합뉴스

AD
원본보기 아이콘

당시 놈 장관은 기자회견에서 "우리는 아무 데도 가지 않을 것이다. 이 도시를 공산주의자, 그리고 짐스러운 리더십으로부터 해방할 때까지 여기에 머물 것이다"고 말하며 LA 시위에 대한 정부의 강경한 입장을 밝히고 있었다.

그때 파디야 의원이 등장해 신분을 밝히고 "장관에게 질문이 있다"며 걸어 나왔다. 그러나 놈 장관은 파디야 의원을 잠시 쳐다본 뒤 다시 고개를 돌렸고, 준비한 발언을 이어갔다. 그러자 경호 인력으로 보이는 남성들이 파디야 의원을 문 쪽으로 밀어냈다. 다시 질문하려 하는데도 그는 문밖으로 밀려 나갔다. "손 떼라"라며 소리치는 모습은 영상에 고스란히 담겼다. 당시 현장 중계 카메라에는 잡히지 않았으나, 이후 남성들은 파디야 의원을 바닥에 눕힌 뒤 수갑까지 채운 것으로 전해졌다.


보안 요원들이 파디야 의원을 바닥에 쓰러트린 후 수갑을 채우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보안 요원들이 파디야 의원을 바닥에 쓰러트린 후 수갑을 채우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파디아 의원실은 "장관에게 질문을 하려다 연방 요원들에게 강제로 끌려 나가 바닥에 쓰러지고 수갑이 채워졌다"면서도 "현재 구금돼 있지는 않다"고 밝혔다. 다만 기자회견이 끝난 뒤 놈 장관은 파디야와 15분 정도 따로 면담하는 시간을 가진 것으로 알려졌다.


이 사건이 알려지면서 민주당은 즉각 반발하고 나섰다. 척 슈머 민주당 상원 원내대표는 "영상에서 미국 상원의 파디야 의원을 다루는 모습에 속이 아프다"며 "도대체 무슨 일이 있었는지 즉각적인 답변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하킴 제프리스 하원 원내대표는 "상원의원을 공격한 모두가 책임을 져야 한다. 누구도 법 위에 있을 수 없다"고 밝혔다.

트리샤 맥라플린 국토안보부 대변인은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파디야 의원은 무례한 정치 연극을 선택했고, 신분을 밝히거나 상원의원 배지도 없이 놈 장관에게 돌진하며 실시간 기자회견을 방해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파디야 의원이 신분을 밝히고 놈 장관이 그를 바라보는 모습은 영상에 담겼다. 파디야 의원은 SNS 등을 통해 LA 시위를 대하는 트럼프 정부를 강하게 비판해왔다. 놈 장관이나 국토안보부에서 LA 지역구 상원의원을 알아보지 못했다는 주장에 설득력이 없다는 평가가 나온다.


트럼프 정부의 불법 이민자 단속에 반발하는 LA 시위는 일주일째 이어지고 있다. LA 경찰은 "11일 이민세관단속국(ICE)의 단속과 관련한 시위와 그에 따른 범죄 행위로 80명 이상을 체포했다"고 밝혔다. 이들 중 71명은 해산 명령을 따르지 않았고, 7명은 통행금지를 위반한 것으로 전해졌다. 경찰관에 대한 무기 사용 폭행과 공무집행 방해로도 각각 2명과 1명이 체포됐다.


현재 미 해병대 700명도 LA에 대기 중인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놈 장관은 "지금 전국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에 이 도시가 본보기가 되고 있다"며 "우리 아이들과 손자들을 위해 어떻게 하면 모든 지역 사회를 다시 위대하고 안전하게 만들 수 있는지에 대한 모델이자 청사진을 만들고 있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김성욱 기자 abc123@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