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트럼프 '가자구상'에…침묵깨는 유럽동맹들 "허니문 끝"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이른바 '가자지구 구상'으로 유럽 동맹과의 '글로벌 허니문'이 끝나가고 있다고 8일(현지시간) 미국 CNN방송이 보도했다. 그간 허니문을 유지해 유럽동맹의 침묵이 이번 가자지구 주민 이주 구상으로 깨지고 있다는 것이다.

트럼프 '가자구상'에…침묵깨는 유럽동맹들 "허니문 끝"
AD
원본보기 아이콘

보도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의 가자지구 구상 발표 이후 유럽 동맹국들은 어조는 조금씩 다르나 잇달아 반대입장을 드러내고 있다. 프랑스는 트럼프의 가자지구 구상에 대해. "국제법을 심각하게 위반할 것"이라고 경고했고, 스페인 외무장관은 "가자 사람들의 땅은 가자"라고 밝혔다. 프랑크발터 슈타인마이어 독일 대통령은 이 제안은 "받아들일 수가 없다"고 말했고, 아날레나 베어보크 독일 외무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의 구상이 현실화할 경우 "또 다른 고통과 증오를 불러올 것"이라고 경고했다.


트럼프의 가자지구 구상은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이 각각 독립 국가로 평화롭게 공존하는 해법, 이른바 '두 국가 해법'을 완전히 뒤집는 것이다. 서방은 수 십 년간 두 국가 해법을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문제의 해법으로 제시해왔다.

CNN은 이런 흐름과 관련해 "여러모로 트럼프의 글로벌 허니문이 끝난 것으로 보인다"고 진단했다. CNN은 "(트럼프 대통령 취임 후) 2주간 미국의 친구들은 입을 다물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유럽과 영미권 지도자들이 전하는 따뜻한 말을 즐겼고 비판은 거의 없었다"면서 "하지만 그 합의는 결코 오래가지 못했다. 트럼프가 가자지구를 미국의 통제하에 두는 가장 도발적인 외교 정책 아이디어를 내놓은 후 산산조각이 났다"고 평가했다.


워싱턴에 있는 싱크탱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의 중동 책임자인 존 알터먼은 유럽이 모두 당황했다면서 "유럽은 훨씬 더 자기중심적이고 다자체제 지지에 훨씬 덜 헌신적인 미국과 어떻게 관계를 맺을지에 대해 훨씬 더 깊은 탐구에 빠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하지만 트럼프와 각을 세우기 어렵다는 점은 유럽 동맹국에게 적잖은 고민이다. 일례로 영국의 키어 스타머 총리와 노동당 정부는 트럼프행정부와의 긍정적 관계를 원하고 있는 상황이다. 최근 데이비드 라미 외무장관은 "가자 문제에 대해서는 트럼프가 옳다"고 발언하기도 했다. 영국 노동당 소속의 한 의원은 CNN에 트럼프 대통령의 가자 구상에 경악했다고 밝히면서도 트럼프를 비판하기에는 휴전과 무역 등 너무 많은 사안이 걸려 있다고 전했다.

다만 일각서는 트럼프 대통령의 외교 정책이 '교착상태'를 풀려는 아이디어일지라도, 동맹의 지지를 얻지 못하면 미국이 국제사회에서 고립되고 국제 리더십의 공백을 부를 수 있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알터먼은 "많은 나라들이 러시아, 중국과 다른 관계가 필요하다고 느끼게 될 것"이라고 전망하면서 "부분적으로는 미국에 의존하지 않기 위해서고, 또 부분적으로는 미국과 긴밀한 관계를 맺는 것에는 도덕적 이득이 없다고 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특히 유엔 인권이사회(UNHRC)를 비롯한 주요 국제기구에서 탈퇴하고 정부 내 대외원조 기구인 국제개발처(USAID)를 해체하려는 트럼프 대통령의 움직임이 '미국 고립' 위험을 높이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트럼프 1기 정부에서 보스니아 대사를 지낸 에릭 넬슨은 "USAID를 자선단체와 혼동하고 있다"며 "미국인은 세계에서 가장 너그러운 사람들에 속하지만, 전략적 투자를 하는 것은 우리가 친구들은 지원하고 영향력을 확대하는 중요한 방법"이라고 강조했다.





유제훈 기자 kalamal@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