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73년생 한동훈' 저자 "윤 대통령, 정치적으로 완벽하게 부활"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73년생 한동훈'의 저자 심규진 스페인 IE대 교수가 "윤석열 대통령은 정치적으로 완벽하게 부활했다"고 주장했다.

"윤 대통령은 이제 분명한 캐스팅보트로서, 우파 내 권력 구조의 주도권을 쥐게 되었다"라고 부연했다.

심 교수는 "대통령을 체포하려는 시도가 거세질수록 이는 국민의 40%에 육박하는 민심을 무시하고 저해하는 행동으로 받아들여질 가능성이 크다"면서 "결국 이러한 역풍은 윤 대통령의 정치적 입지를 더욱 강화할 것"이라고 했다.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대통령 체포하려 할수록 역풍 거세"

'73년생 한동훈'의 저자 심규진 스페인 IE대 교수가 "윤석열 대통령은 정치적으로 완벽하게 부활했다"고 주장했다.

심규진 교수의 페이스북 글

심규진 교수의 페이스북 글

AD
원본보기 아이콘

10일 심 교수는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윤 대통령의 지지율이 한 번도 한 자릿수로 떨어진 적이 없고, 지지율이 (계엄 관련) 대국민담화 이후 11%에서 반등해 계속 상승세를 보였다"며 이같이 적었다. "(한국)갤럽이 (윤 대통령) 지지율 조사를 하고 있지는 않지만, 탄핵 반대 여론이 이미 30%를 넘어섰기 때문에 갤럽에서도 (대통령 지지율이) 30%대를 기록하는 것으로 봐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지지층의 강력한 요구가 이어지고 있기 때문에 국민의힘 내부에서도 윤 대통령과 거리를 두며 책임을 회피하려던 기회주의적 태도가 더는 유지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했다.

또 "탄핵 국면에서 소신을 지키고 정도를 걸었던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이 확실한 보수 진영의 대권 주자로 부상한 점은 주목할 만하다"고 했다. "윤 대통령이 부활함과 동시에 김 장관이 부각되는 동조화 현상이 나타난 것은 차기 권력구조에서도 윤 대통령의 영향력을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신호"라는 것이다. "윤 대통령은 이제 분명한 캐스팅보트로서, 우파 내 권력 구조의 주도권을 쥐게 되었다"라고 부연했다.


심 교수는 "대통령을 체포하려는 시도가 거세질수록 이는 국민의 40%에 육박하는 민심을 무시하고 저해하는 행동으로 받아들여질 가능성이 크다"면서 "결국 이러한 역풍은 윤 대통령의 정치적 입지를 더욱 강화할 것"이라고 했다.


심 교수는 2023년 '한동훈 신드롬'을 집중 분석한 책 '73년생 한동훈'을 집필했다.

충청 지역 공중파 방송 CJB에서 기자로 있다가, 포털 매체 미디어다음 뉴스 파트장으로 활동하면서 이명박 원희룡 이문열 추미애 등 유명인 100여명을 인터뷰했다. 2021년 여의도연구원 데이터랩 실장으로 정책 개발을 위한 여론 동향 분석과 전략 수립 등에 참여했다. 2014년 싱가포르 경영대학교(SMU) 교수, 호주 멜버른 대학교(UM)를 거쳐, 2022년부터 스페인 IE대학에서 커뮤니케이션 및 디지털 미디어 조교수로 활동하고 있다.





김은하 기자 galaxy656574@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