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韓 지사 설립한 오픈AI, 전략·엔지니어 등 국내인력 채용 나서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최소 5년 이상 경력 요구…일부 직군 성과 조건도
재택·출근 혼합형태

한국 법인을 설립하면서 국내에 공식 진출한 오픈AI가 국내 사무소에서 근무할 경력직 직원의 채용을 시작했다.


29일 IT 업계에 따르면 오픈AI는 전날 채용 플랫폼 링크드인(LinkedIn)과 자사 채용정보 페이지를 통해 서울사무소에서 근무할 인력에 대한 채용공고를 냈다.

로이터연합뉴스

로이터연합뉴스

AD
원본보기 아이콘

오픈AI가 이번에 국내에서 채용하는 직군은 ▲어카운트 디렉터(디지털 네이티브 담당) ▲어카운트 디렉터(대기업 담당) ▲어카운트 디렉터(전략 담당) ▲커스터머 석세스 매니저 ▲솔루션 아키텍트 ▲솔루션 엔지니어 등 총 6개다.


근무 형태는 혼합근무 방식으로, 서울 사무실로의 주 3회 이상 출근과 재택을 병행한다. 오픈AI는 현재 서울 사무소의 위치를 아직 확정하지 않았다.


공고에 따르면 지원자들은 한국어와 영어 모두에 능통해야 하며, 직군에 따라 최소 5년(솔루션 아키텍트)에서 14년(어카운트 디렉터)의 경력이 있어야 한다.

일부 직군에서는 과거 업무에서의 성과 조건을 요구한다. 어카운트 디렉터(대기업 담당)의 경우 연간 200만달러(약 27억6000만원) 이상 수익 목표를 3년 연속 달성한 경험과 글로벌 1000대 기업과 협업한 경험이 있어야 한다. 기술 직군인 솔루션 아키텍트는 생성형 인공지능(AI)을 구축해 본 경험이 있거나 파이썬, 자바스크립트 등 프로그래밍 언어에 대한 경험이 있어야 한다.


오픈AI가 원하는 인재상도 공고에 명시됐다. 지원자들은 AI에 대한 높은 호기심과 열정이 있어야 한다. 일부 직군에서는 윤리적 AI를 위한 책임감을 가져야 한다고 제시했다. 어카운트 디렉터 직군에서는 시스템과 프로세스를 구축하는 데 흥미를 느끼는 구축가(Builder) 유형이 적합하다고 했다.


오픈AI는 지난 14일 법인설립 등기를 마치고 한국 법인인 '오픈에이아이코리아 유한회사'를 설립했다. 오픈AI의 한국 사무소 설립은 아시아 국가 중 3번째, 글로벌에서는 12번째다.


오픈AI가 국내 지사 설립을 결정한 건 국내에서 챗GPT 등 오픈AI의 서비스 이용자들이 늘면서다. 오픈AI에 따르면 한국은 글로벌 시장에서 미국 다음으로 많은 챗GPT 유료 구독자를 보유한 국가다. 주간 활성 챗GPT 사용자 수도 지난 1년간 4.5배 이상 늘었는데, 사용자 수 기준으로 전 세계 상위 10개국에 든다.





이명환 기자 lifehwan@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