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車 부품업계 "25% 美관세로 영업이익 급감…기업 존립 위협"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무협, 부산서 업계 간담회
"정부·미국에 현장 목소리 적극 전달"

미국 트럼프 정부가 자동차에 이어 자동차 부품에 25%의 품목 관세를 부과하자 우리 자동차 부품 업계가 이로 인한 어려움을 호소하고 나섰다.


윤진식 한국무역협회 회장이 부산 강서구에 위치한 자동차 부품 제조기업 이든텍를 방문해 제품 관련 설명을 듣고 있다. 사진 왼쪽이 윤진식 한국무역협회 회장, 오른쪽이 오린태 이든텍 대표이사. 사진=한국무역협회

윤진식 한국무역협회 회장이 부산 강서구에 위치한 자동차 부품 제조기업 이든텍를 방문해 제품 관련 설명을 듣고 있다. 사진 왼쪽이 윤진식 한국무역협회 회장, 오른쪽이 오린태 이든텍 대표이사. 사진=한국무역협회

AD
원본보기 아이콘

한국무역협회는 윤진식 회장이 지난 28일 부산 강서구 소재 기업 이든텍을 찾아 '부산 자동차 부품 업계 간담회'를 열고 미국발 관세 조치에 따른 현장 목소리를 청취했다고 29일 밝혔다.

간담회에는 부산 소재 자동차 부품 기업 5곳이 참석해 최근 미국이 수입차 부품에 25%의 품목 관세를 부과한 것에 따른 애로와 대응 방안 등을 논의했다.


오린태 부산자동차부품공업협동조합 이사장(이든텍 대표)은 "지난 3일부터 자동차 부품에 25% 관세가 부과되면서 대미 수출 기업들의 영업이익이 급감하고 있다"며 "미국의 관세 조치가 장기화할 경우 기업 존립을 위협받을 수 있다"고 호소했다.


이어 오 대표는 "관세 문제는 중소기업의 독자 대응이 어려운 통상 문제인 만큼 정부와 협회의 적극적인 지원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A사 관계자 역시 "미국으로 직·간접적으로 수출하는 300여종의 부품 중 48종이 철강·알루미늄 파생상품으로 분류돼 3월부터 25%의 관세를 부과받고 있다"며 "나머지 부품들도 보편관세 10% 및 자동차부품 관세 25% 대상에 포함되는 등 미국의 관세 조치가 추가될 때마다 품목 확인과 대응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토로했다.


그는 "미국·멕시코·캐나다 무역협정(USMCA)의 기준을 충족하는 멕시코, 캐나다산 부품과 달리 한국산 부품은 관세 면제를 받지 못해 가격 경쟁력 약화가 우려된다"고 말했다.


A사는 완성차 업체와 협의 끝에 약 10%의 비용 증가분을 자체 부담하고 있으나 미국의 관세 조치가 장기화할 경우 수익성 악화는 물론 대미 수출 자체도 어려워질 수 있다고 했다.


간담회 참석자들은 특히 미국 관세 정책의 불확실성, 미국 수입자의 관세 부담 전가, 미국 내 완성차 제조 비용 증가에 따른 수요 위축 등 애로를 호소했다.


윤진식 회장은 "최근 두 차례 미국을 방문해 한국 기업들의 투자 지역 주지사, 상·하원 의원 및 상무부 고위 인사 등을 만나 한국 기업들의 적극적인 대미 투자와 수출이 미국의 첨단산업 발전과 일자리 창출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오늘 간담회를 비롯해 대미 관세 조치에 따른 무역업계의 피해 상황과 현장의 목소리를 면밀히 파악해 이를 정부 및 미국 측에 적극적으로 전달하겠다"고 약속했다.





김형민 기자 khm193@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