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차기 대통령, 취임 열흘만 G7서 '외교 데뷔전'…방미 추진도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내달 4일 취임하는 새 대통령은 임기 시작 열흘여 만에 '외교 데뷔전'을 치르게 될 전망이다. 내달 15일 캐나다에서 개최되는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 참관국(옵서버)으로의 초청이 유력하다. 이를 계기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도 자연스럽게 대면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대미 관세 협상이 새 정부의 외교력을 가늠할 첫 시험대란 점에서 취임하자마자 숨 가쁜 외교전이 예상된다.


(왼쪽부터)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 이준석 개혁신당 대선 후보. 연합뉴스

(왼쪽부터)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 이준석 개혁신당 대선 후보. 연합뉴스

AD
원본보기 아이콘

14일 외교가에 따르면 새 대통령이 올해 G7 정상회의에 초청될 경우 2021년, 2023년에 이어 역대 세 번째 대면 참석이 될 것으로 보인다. G7은 미국을 중심으로 구성된 이른바 '선진국 클럽'이다. 올해 G7 의장국을 맡은 캐나다는 지난 3월 총선에서 마크 카니 총리가 새로 취임했다. 한국의 새 대통령이 선출되면 한·캐나다 정상 간 소통을 통해 초청이 이뤄질 가능성도 있다. 앞서 카니 총리는 취임 직후 가졌던 블라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의 통화를 계기로 젤렌스키 대통령을 G7 정상회의에 초청하기도 했다.

아울러 같은 달 24~26일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개최되는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정상회의도 예정돼 있다. 북미와 유럽 국가들을 중심으로 구성된 군사 동맹인 나토는 최근 한국을 비롯해 일본, 호주, 뉴질랜드 등 인도·태평양 4개국(IP4)을 꾸준히 초청해 왔다. 이 자리에도 트럼프 대통령이 참석할 가능성이 높다. 만일 올해 10~11월께 경주에서 개최되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도 트럼프 대통령이 참석할 경우, 한미 정상이 올해에만 세 차례의 다자무대에서 마주하게 되는 셈이다.


다만 한미 간에는 관세 협상을 비롯해 대북정책·방위조약 등 중요 현안이 산적해 있어 다자외교 무대와는 별도로 양국 정상 간 소통도 추진될 전망이다. 박근혜·문재인·윤석열 등 역대 대통령들도 대선 당선일 또는 취임일에 미국 대통령과의 통화를 최우선으로 진행했다. 아울러 새 대통령 방미 일정도 조율할 것으로 보인다. 조태열 외교부 장관은 지난 6일 마코 루비오 미 국무부 장관과 통화하고 "6·3 대선 이후 한국의 신정부가 빠르게 안착하고 한미 간 협력 성과가 이어질 수 있도록 대선 직후 조속한 한미 정상 통화 성사 등을 위해 각별한 관심을 가져 달라"고 당부했다.




손선희 기자 sheeson@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