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1기 당시 애플에 면제
中생산 비중 높은 애플, 관세 타격 때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3일(현지시간) 워싱턴DC 백악관 집무실에서 행정명령에 서명하기 전에 기자회견을 진행하고 있다. 트럼프는 아이폰을 비롯해 제품 상당수를 중국에서 생산하는 애플에 대해 관세 예외 조치를 적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이날 밝혔다./AP·연합 A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아이폰을 비롯한 제품 90% 이상을 중국에서 생산하는 애플에 대해 관세 예외 조치를 적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13일(현지시간)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워싱턴DC 백악관 집무실에서 예외나 면제 조치를 고려하냐는 질문에 대해 "애플의 경우 첫 임기 때 (관세 적용) 면제를 허용했다"며 "삼성은 한국에서 제품을 만들고 있었고 삼성은 세금을 내지 않아도 됐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당시 세금은 중국을 대상으로 한 것이었고, 애플은 중국에서 많은 제품을 생산하고 있었다"면서 "그래서 그렇게 했는데 그렇지 않다면 공정하지 않았을 것이기 때문"이라고 부연했다.
그러면서 "그러나 이제는 모두에게 적용되는 방식"이라며 "이것이 훨씬 더 단순하고, 더 나은 방법"이라고 재차 강조했다.
트럼프 1기 행정부 당시인 2019년 애플은 아이폰 같은 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를 면제해달라고 요청했고 트럼프 행정부는 이를 승인했다. 애플은 트럼프 중국에서 미국으로 일부 맥 컴퓨터 제조기지를 이전하겠다는 약속도 내놨지만, 결국 이 약속은 지켜지지 않았다.
2023년 기준 애플의 아이폰, 아이패드, 맥북 등을 포함한 제품의 95% 이상이 중국에서 생산된다. 애플은 인도와 베트남 등으로 생산 기지를 다변화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여전히 대다수 생산이 중국에 집중된 상황이다.
차민영 기자 blooming@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친구야, 우리 무덤 같이 들어갈래?"…마지막을 준비하는 사람들[日요일日문화]](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5031808581571842_1742255895.jp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