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유현석 기자] 미국이 지난달 유엔을 통해 북한에 코로나19 백신 지원 의사를 전했다. 다만 이같은 의사 표명은 미국 정부 공식은 아니고 미국 내 일각의 움직임으로 알려졌다.
국가정보원은 21일 국회 정보위원회 위원장, 여야 간사와 간담회를 통해 미국의 대북 백신 지원 논의를 포함한 북한 동향을 보고했다.
김경협 국회 정보위원장은 연합뉴스에 "백신은 유엔이 제공하는 형식을 취했다"며 "김성 주유엔 북한대사가 상당한 관심을 표시했다. 일단 '백신 종류가 무엇이냐, 화이자냐 모더나냐'를 물어봤으며 '평양에 보고하겠다'고 했다"고 설명했다. 지원 방식은 유엔 산하기구를 이용하는 방식으로 알려졌다.
그는 "인도적 지원, 그리고 글로벌 방역 협력이 필요하다는 차원에서 미국이 백신을 제공할 의사가 있다는 것을 표시한 것 같다"며 "교황청에서도 백신을 제공할 의사가 있다고 했다"고 말했다.
다만 김성 대사와 접촉은 작년 12월 이뤄졌으며 아직 북한의 대답은 받지 못했다고 한다.
미국 정계, 학계, 언론 등은 그동안 인도주의적 차원에서 북한을 지원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제기된 바 있다.
이와 함께 국정원은 북한이 지난 19일 김정은 노동당 총비서 주재로 개최한 정치국 회의에 대해서도 보고했다.
그는 "북한의 의도는 미국이 자기들의 핵실험·ICBM 발사 중단에 상응하는 조치를 해주지 않으면 (핵실험·ICBM 발사를) 다시 검토하겠다는 입장"이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미국이 우크라이나, 중동 문제로 북한에 대한 관심이 멀어져 있으니 북한 입장에서는 미국의 관심을 끌어내기 위한 조치가 필요하지 않았겠나"라고 말했다.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