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美국무 "트럼프, 푸틴이 협상에 관심없다 생각하면 추가 제재"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상원 외교위서 "트럼프 제재 옵션 있다…영구적 종전 원해"
"시리아 과도정부, 몇 주내 붕괴·내전 발생할 수도"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부 장관이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전 종전 협상에 제대로 나서지 않으면 추가 제재를 시행할 수 있다고 밝혔다.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부 장관. AFP연합뉴스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부 장관. AFP연합뉴스

AD
원본보기 아이콘

루비오 장관은 20일(현지시간) 미 의회 상원 외교위원회에 출석해 "만약 러시아가 평화 협상에 관심이 없고 계속 전쟁하길 원한다면 추가 제재에 이를 수도 있다"며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은 제재 옵션이 있다. 만약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협상에 관심이 없다고 생각할 경우 이를 실행할 수 있다고 시사한 바 있다"고 설명했다.

루비오 장관은 "러시아에 부과된 단 하나의 제재도 해제되지 않았다. 전임 정부에서 부과된 모든 제재가 유지되고 있다"며 "트럼프 대통령은 (러시아에) 단 하나의 양보도 하지 않았다"고 했다. 이어 "이 위기에 어떤 군사적 해법도 없다. 그것은 협상을 통한 합의로 종료돼야만 한다"며 "우리는 영구적인 방식으로 우크라이나 전쟁이 끝나길 바란다"고 말했다.


루비오 장관은 우크라이나 전쟁과 인도·태평양 지역 안보와 관련 "중국이 없었다면 러시아는 이 상황을 유지할 수 없을 것"이라며 "우리는 북한과 이란의 역할에 대해서도 잘 알고 있다"고 했다. 이어 "이 문제의 다른 측면은 우리가 유럽에서의 전쟁에 지출하는 달러는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있을 수 있는 더 심각하고 파괴적인 대결에 대한 우리의 집중력과 자원을 분산시키고 있다는 것"이라고 밝혔다.


또 루비오 장관은 우크라이나에 대한 안보 지원을 위한 추가 예산 편성 문제에 대해 "그것은 백악관이 결정해야 한다"고 즉답하지 않았다.

루비오 장관은 최근 미국 정부가 제재를 해제한 대(對)시리아 외교와 관련 "몇 달이 아니라 몇 주 내에 과도 정부가 잠재적으로 붕괴하고 대규모의 전면 내전이 발생할 수도 있다는 것이 우리의 평가"라며 "우리가 그들 문제에 관여할 때 (그들이) 성공할 수도 있지만, 성공하지 못할 수도 있다. 그러나 우리가 관여하지 않았다면 분명히 성공하지 못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의 시리아 제재 해제 결정에 대해 "대담한 결정"이라면서 "대통령이 신속하게 제제 관련 조치를 추진한 것은 우리가 계획이 있기 때문"이라고 했다. 이어 "제재 해제의 가장 즉각적인 영향은 인접 국가들이 과도정부에 대한 지원을 시작하고 그들(과도정부)이 실제로 정부를 구축할 수 있도록 지배 메커니즘을 구축하며 무장 세력을 통합하도록 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루비오 장관은 "우리는 제재 면제 조처를 할 것이지만 이는 시한이 있기 때문에 외국 투자와 같은 것을 유치하기에는 충분하지 않을 것"이라며 "궁극적으로 의회나 더 포괄적인 차원의 조치가 취해져야 한다"고 했다. 그는 "시리아 상황은 레바논 상황에도 깊은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가령 2년 뒤 시리아와 레바논이 안정되면 지역 전체에 평화와 안보 등을 위한 놀라운 기회가 열릴 것이다. 이는 큰 도전 과제이지만 역사적인 기회"라고 강조했다.


한편 루비오 장관은 가자지구 주민을 인근 지역으로 재배치하는 트럼프 대통령의 구상과 관련해 "추방은 없다"며 "우리가 일부 국가와 대화한 것은 만약 누군가 자발적으로 일정 기간 다른 곳에 가고 싶어 한다면 그들을 수용할 의향이 있는 국가가 있는지"라고 말했다. 이어 "이는 개인에 의한 자발적 결정"이라며 "우리는 영구적인 것이 아니라 재건을 위한 임시 조치로 주민을 수용할 의사가 있는지에 대해 일부 국가에 예비적으로 문의했다"고 밝혔다.


이밖에 루비오 장관은 미국의 인도주의적 지원 축소에 따른 공백을 중국이 메우면서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는 민주당의 지적에 "중국은 인도주의적 지원을 하지 않고 있으며 솔직히 말해 그들은 그것을 할 줄 모른다"면서 "중국이 하는 것은 약탈적 대출 및 부채 함정"이라고 반박했다.





이승형 기자 trust@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