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27일 총파업 찬반투표
협상 결렬 시 28일 첫차부터 파업
서울, 인천, 경기 등 전국 2만6000여대 버스노조가 28일 총파업을 예고한 가운데 동시 조정을 신청하는 등 본격적 쟁의 절차를 시작했다.
전국자동차노동조합연맹은 지난 8일 전국대표자회의 결정에 따라 12일 산하 버스노조가 각 지방노동위원회에 조정 신청을 하는 등 법적 쟁의 절차를 시작했다고 13일 밝혔다.

지난달 30일 서울 시내버스 노사협상이 결렬돼 준법투쟁에 돌입했다. 준법 투쟁은 모든 승객이 완전히 자리를 잡거나 손잡이를 잡는 것을 확인한 뒤 출발하는 식으로 진행되고, 시내버스 기사들은 급출발, 급제동, 급차로 변경, 개문 발차, 끼어들기도 하지 않았다. 7일 서울시내를 주행하는 한 시내버스가 비상등을 점등하고 서행하고 있다. 2025.05.07 윤동주 기자
앞서 자동차노련은 12일 동시 조정을 신청하고 15일간의 조정 과정을 거친 뒤에도 협상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28일 첫차부터 동시 파업에 돌입한다고 밝혔다. 버스노조는 통상임금 문제가 교섭이 아닌 사법기관에서 해결할 문제라고 주장한다. 지자체나 버스 운행사 측은 임금단체협약 교섭을 통해 변화된 통상임금 판례에 맞게 임금체계를 바꿔야 한다는 입장이다.
당초 22개 버스노조가 모두 조정을 신청해 4만대가량 버스가 파업에 참여할 것으로 전망됐지만, 일부 노조가 제외됐다. 이미 법적 절차를 마친 서울을 비롯해 부산, 인천, 광주, 울산, 충북, 경남, 경기, 제주가 참여하며 총 2만6216대, 5만3200여명 규모다.
자동차노련 관계자는 "현장의 상황 등이 고려돼 일부 지역노조는 제외된 가운데 동시 조정 신청을 하게 됐다"며 "아직 조합원 대상 파업찬반투표는 이뤄지지 않았지만, 통상 90% 이상의 높은 찬성률을 보여온 만큼 통과에는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했다.
파업 찬반투표는 오는 23~27일 지역 실정에 맞게 노조별로 이뤄진다. 조정 기한인 27일 자정까지 버스 노사 간 합의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28일 첫차부터 노조는 파업에 돌입한다.
자동차노련은 "모든 안을 협상테이블에 올려놓고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한 협상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재차 밝혔다.
김영원 기자 forever@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